유료기사는 인쇄용 화면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주목! e기술] 면역항암제가 선도하는 항암제 시장
  • 항암제 파이프라인 및 시장 규모 증가
  • 화학/표적항암제 뛰어넘는 면역항암제
  • 2018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
  • 글로벌 기업 관심 가질수록 블록버스터 제품 많아
  • 등록 2021-11-07 오전 7:47:12
  • 수정 2021-11-07 오전 7:47:12
[이데일리 송영두 기자] 매년 환자 수가 증가하고 차세대 치료제 개발을 위한 기술 개발과 정부 차원의 지원 등으로 항암제 파이프라인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항암제 시장도 지속해서 성장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바이오협회 ‘항암제 파이프라인 분석’ 리포트를 통해 항암제 개발 트렌드를 알아본다.

시장조사기관 글로벌데이터에 따르면, 개발 중인 전체 파이프라인 약물은 총 1만4461건이다. 전임상 7160건, 임상 1상 2653건, 임상 2상 2130건, 임상 3상 501건, 예비등록 129건 순이다. 특히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 2021에 소개된 전체 신약 파이프라인은 지난 5월까지 6506건으로 집계됐다. 항암제 분야에서는 비소세포폐암이 140건으로 가장 많았다. 그 뒤를 급성골수성백혈병(128건)과 유방암(128건), 뇌종양(93건), 다발성 골수종(91건), 전립선암(82건) 등이 이었다.

가장 많이 개발되고 있는 약물 유형은 저분자화합물 5167건으로 전체 파이프라인 중 35.7%를 차지했다. 2020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된 49종의 신규 치료제 중 63%가 저분자화합물이다. 표적항암제 일종인 단클론항체 파이프라인 2376건(16.4%), 유전재재조합 세포치료제 1748건(12%)이 뒤를 이었다. 이 외 안티센스 RNA 포함 RNAI, mRNA 기반 파이프라인도 증가하는 추세다.

(자료=한국바이오협회)
면역항암제 동향

화학항암제와 표적항암제는 치료 효과가 좋아 아직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내성기전 및 부작용 등 한계로 면역시스템을 활용한 3세대 항암제인 면역항암제가 주목을 받고 있다. 2018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T세포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CTLA-4, PD-1을 차단하는 항체를 이용해 종양 성장을 억제하는 기전이다.

면역항암제 파이프라인 약물 수(2020년 기준)는 4820건으로 2019년 3876건 대비 22% 증가했다. 2017년에 비해서는 무려 233% 증가한 수치다. 또한 면역항암제 단점인 낮은 반응률을 높이기 위해 기존 치료제와 병용임상 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VEGF/VEGFR, PARP, HER1/2/3, TIGIT, EGFR 등이 대표적인 병용투여 타깃이다.

면역항암제는 T세포 면역조절제, 기타 면역조절제, 세포치료제, 암백신, 항암바이러스, CD3 이중항체로 구분된다. 세포치료제는 2017년 이후 파이프라인이 약 4배 증가했고, 면역조절제 및 항암바이러스도 매우 증가했다. 암백신의 경우 2019년 직전년도 대비 약물 수가 약간 감소했다. 하지만 신생항원 및 나노입자 기술에 기반한 새로운 백신 약물의 전임상 진입으로 지난해 파이프라인 수가 다시 증가했다.

특히 항암제 분야 글로벌 톱10 기업들이 관심 갖는 적응증일수록 블록버스터 제품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톱10 기업 모두 폐암 항암제를 다루고 있고, 7개 기업은 개발을 완료했다. 이 중 6건이 블록버스터 제품이다. 폐암, 유방암, 림프종 순서로 많은 기업이 개발을 완료했다.

아이큐비아 보고서에 따르면 항암제가 2025년까지 글로벌 의약품 소비규모 1위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면역항암제는 시장 규모에서 전체 항암제 분야 중 20%를 차지해 항암제 분야를 선도할 것으로 관측된다. 2021년부터 2025년까지 항암제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9~12%로 시장규모는 약 2730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리포트는 기존 저분자화합물 이외의 다양한 혁신적 모달리티(항체, ADC, mRNA, CAR-T, 유전자, PROTAC, PPI 등) 기반 신약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이노베이션 중심의 신약개발이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분석했다.

마감

의과대학 입학정원 증원 어떻게 생각하세요?

필요하다

134명( 82% )

불필요하다

29명( 17% )

저작권자 © 팜이데일리 - 기사 무단전재, 재배포시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