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기사는 인쇄용 화면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기자수첩]NEXT 펜데믹, 치료제 주권 확보 쉽지 않다
  • 등록 2022-07-21 오전 7:01:55
  • 수정 2022-07-22 오전 7:08:23
[이데일리 송영두 기자] 2020년 2월 코로나19 펜데믹이 시작되면서 정부가 가장 먼저 언급한 것은 코로나 치료제 및 백신 주권이었다. 문재인 정부는 펜데믹이 끝나도 치료제와 백신 개발을 끝까지 지원할 것이라며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분발을 촉구했다. 올해 들어선 윤석열 정부도 지원을 약속한 바 있다.

하지만 엔데믹 상황에 접어들면서 제약·바이오 업계에서는 정부를 향한 불만이 터져 나온다. 코로나 치료제 개발 지원을 약속한 정부가 제대로 실행을 하지 않고 있다는 것. 현재 국내에서 코로나 치료제를 개발 중인 기업은 17개사, 백신 개발 기업은 10개사에 이른다. 신약 개발에 거금이 투여되고 리스크가 높은 만큼 정부의 지원은 필수적이다.

당초 정부는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코로나 치료제 및 백신 개발에 총 4127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성과도 있었다. 셀트리온이 국내 최초로 코로나 항체치료제 렉키로나를 상용화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최근 코로나 백신 스카이코비원 개발에 성공했다. 하지만 정부가 렉키로나 개발에 지원한 연구개발비 규모는 약 520억원이다. 셀트리온은 렉키로나 연구개발비 규모를 밝히지 않고 있지만, 정부의 개발비 지원은 미미한 수준이라는 는 게 업계 설명이다.

셀트리온 외 치료제 개발기업들은 각각 수십억원 규모를 지원받는데 그친 것으로 알려진다. 이종성 의원(국민의힘)실에 따르면 특히 코로나 치료제 개발지원 예산 집행률이 저조했다. 2020년부터 2021년까지 5개 기업에 818억원을 지원하는데 그쳤고, 올해는 6월 말 기준 한 곳도 지원하지 않았다.

정부가 지원을 약속한 연구개발비 마저도 내놓지 않으려고 한다는 불만까지 터져 나오고 있다. 이러다가 넥스트 펜데믹 상황에서는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 나서는 기업들을 찾아보기 힘들 것이라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백신과 치료제 주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그 부담을 나눠 가져야 한다. 그 어느 때 보다 정부가 신약개발 리스크 분담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는 자세가 필요한 시기다.

마감

의과대학 입학정원 증원 어떻게 생각하세요?

필요하다

134명( 82% )

불필요하다

29명( 17% )

저작권자 © 팜이데일리 - 기사 무단전재, 재배포시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