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기사는 인쇄용 화면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①코로나 치료제도 서구에 밀려…'치료제 주권없인 위드코로나도 허상'
  • [머크 코로나 치료제]
  • 2015~2019년까지 감염병 예방치료 예산 '0'원
  • 기존 항바이러스 최대 예산은 타미플루 구매비
  • 항바이러스제 투자 등한시 결과, 치료제 개발 밀려
  • 그간 돈 되는 고혈압·당뇨병 치료제 개발에 치중
  • 국내, 알약 치료제는 커녕 항바이러스제도 성공 못해
  • 등록 2021-10-07 오전 7:00:00
  • 수정 2021-10-07 오전 8:38:28
미국 머크가 개발한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몰누피라비르’.(AP=뉴시스)
[이데일리 김지완 기자] “먹는 코로나 치료제 등장에 우린 뭐 했냐고? 맨날 돈 되는 고혈압, 당뇨에만 투자하고 항바이러스 치료제 투자를 등한시한 결과다.”

경구용 코로나 치료제 등장에 김우주 고려대 감염내과 교수가 정부의 신종감염병 정책에 대해 작심 비판했다. 선진국이 개발한 백신 및 치료제 구매 번호표를 뽑고 기다리는 일을 반복하고 있는 현실이 암담하다는 것. 더욱이 우리 정부는 그 번호표마저 늦게 뽑아 구매순서는 물론 ‘위드코로나’마저 한없이 뒤로 밀리고 있는 실정이다.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사업은 백신, 미해결 치료제, 진단기술 등을 연구개발하는 사업이다. (자료=보건복지부)


6일 기획재정부와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사업(R&D)’ 예산은 지난해 255억3200만원이 편성됐다. 앞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항바이러스 치료제 연구개발 예산은 전무했다.

국내 항바이러스제 비축 예산은 2015년 0원, 2016년 512억원, 2017년 0원 2018년 0원, 2019년 250억원, 지난해 368억원이었다. 2009년 신종플루 발병 이후 수년 치 타미플루를 구매하고 유효기간 지난 약제 폐기를 반복한 결과다.

항바이러스제는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질환을 치료하는 약물이다. 에이즈(HIV), 인플루엔자, 만성 B형·C형, 헤르페스, 말라리아 등을 모두 항바이러스제로 치료한다. 2003년 사스(SARS), 2009년 신종플루, 2015년 메르스(MERS) 등 신종감염병이 주기적으로 발발했지만 항바이러스제에 대한 정부 인식은 별로 변하지 않았다.

인색했던 항바이러스제에 대한 투자 결과는 처참하다. 크리스탈지노믹스, 대웅제약, 동화약품, 이뮨메드, 녹십자웰빙, 종근당, 신풍제약 등이 항바이러스제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 출사표를 던졌지만 아직 성공 소식은 없다. 머크사가 ‘알약’ 코로나 치료제 ‘몰누피라비르’(Molnupiravir)의 상용화 직전까지 왔지만 우리는 기대해볼 만한 임상 결과조차 없다. GC녹십자와 부광약품은 기대치를 밑도는 임상 결과에 치료제 개발을 포기했다.

전문가들은 항바이러스 ‘경구치료제’ 없인 ‘위드코로나’는 요원하다는 입장이다. 경구용 코로나 치료제가 백신의 부족함을 메워 상호보완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백신은 애초 코로나19 게임체인저로 불렸지만 항체 감소로 부스터샷이 필요하고 변이 바이러스에도 취약하다는 지적이다.

김 교수는 “지금 우리가 하는 ‘자가격리’ 방역은 14세기 중세시대 흑사병(패스트) 유행 때나 쓰던 방식”이라며 “항바이러스 경구용 치료제는 mRNA(메신저 리보핵산) 백신처럼 코로나19 극복의 ‘브레이크 스루’(돌파구)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현 정부가 백신 구매 때의 실수를 반복하지 말아야 한다”며 “과학에 근거해 경구용 치료제 구매 결정을 하루빨리 내려야 한다”고 덧붙였다.

마감

의과대학 입학정원 증원 어떻게 생각하세요?

필요하다

134명( 82% )

불필요하다

29명( 17% )

저작권자 © 팜이데일리 - 기사 무단전재, 재배포시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