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류성 바이오플랫폼 센터장] SK바이오사이언스가 개발중인 코로나19 백신(스카이코비원)의 상용화가 마침내 초읽기에 들어갔다. 식약처는 현재 이 백신에 대한 품목허가 심사를 진행하고 있다. 업계는 늦어도 6월 안에 허가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한다. SK가 개발한 코로나백신의 상용화는 빠르면 7월부터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열악한 국내 백신 생태계 환경에서도 백신주권을 실현하고 있는 SK바이오사이언스의 기업가적 도전정신과 신약 기술력은 높은 평가를 받아 마땅하다. SK의 코로나백신이 상업화되면 한국은 영국, 미국과 더불어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를 모두 자체 개발, 상용화한 제약 선진국 반열에 오르게 된다. 지난해 말 셀트리온은 코로나19 항체 치료제(렉키로나) 개발에 성공했다.
코로나 대유행은 인류의 생명과 건강을 위협하는 최대 악재로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는 상황이다. 반면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에게는 기존과 차원이 다른 신세계를 열어줬다는 분석이다. 무엇보다 내로라하는 글로벌 제약강국들을 제치고,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모두를 자체 개발, 한국이 ‘제약강국’으로 도약할 시기가 임박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더욱이 코로나 백신주권 실현의 주인공이 될 SK바이오사이언스는 지금껏 백신개발에 있어 정부로부터 단 한푼의 자금도 지원을 받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놀라운 결과다. 화이자, 모더나 등 앞서 코로나 백신을 개발한 글로벌 제약사들은 미국 정부로부터 수조원에서 수십조원에 달하는 연구개발비를 선제적으로 지원 받았다. 신약개발에 있어 천문학적 자금확보는 필수조건이다. 자금력에 있어 글로벌 제약사들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SK는 이런 약점에도 자력으로 연구개발비를 확보, 개발을 완수하는 저력을 보여줬다.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는 국내 산업계 가운데 100여년이라는 가장 오래된 업력을 쌓아왔다. 그럼에도 그동안 국내 제약사들은 글로벌 제약사들의 약을 판매 대행하거나, 복제약을 판매하는 것을 주요 사업으로 삼아왔다. 글로벌 제약사가 아직 등장하지 못한 핵심 배경이다. 그러던 국내 제약업계가 최근 들어 바이오기업들을 중심으로 연간 십조원이 넘는 신약 기술수출을 성사시키면서 일취월장한 기술력을 과시하고 있다.
요컨대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가 코로나 백신주권을 가시화하고,
셀트리온(068270)이 코로나 치료제 개발에 자력 성공한 것은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의 신약 개발 경쟁력이 이미 글로벌 수준에 근접했음을 입증한다. 국내 제약업계가 이제 신약 기술수출 단계를 뛰어넘어 자력 상용화까지 이뤄내는 최고 경지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업계는 향후 5년이 한국 제약·바이오 업계에게는 글로벌 제약산업의 지형도를 바꿀 신흥강자로 부상할 수 있는 골든 타임이 될 것이라고 판단한다. 마침 윤석열 정부는 국내 업계의 오랜 숙원인 범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제약바이오 혁신위원회)를 설치, 제약강국 도약을 실현하겠다고 나서면서, 힘을 실어주는 형국이다. 한국경제의 미래를 위해서도,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위해서도 제약강국, 백신강국의 꿈은 조속하게 현실이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