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신민준 기자]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삼일제약(000520)이 올해 실적 경신을 노린다. 삼일제약은 주력 사업인 점안제 등 안과질환(안질환) 사업 확대로 실적 퀀텀점프를 꾀한다. 삼일제약은 레바케이 등 점안제 신제품 판매와 아필리부 등 바이오시밀러 판매를 늘릴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삼일제약은 점안제 위탁생산(CMO) 사업 확대를 통해 실적 개선세를 이어간다는 전략이다.
| (그래픽=문승용 기자) |
|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 기록…안질환 신제품 잇단 출시13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삼일제약은 지난해 매출 1963억원, 영업이익 63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매출 1797억원, 영업이익 40억원)대비 각각 9.3%, 56.1% 성장한 수치다. 특히 매출의 경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삼일제약은 올해도 실적 경신 행진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첨병은 점안제와 안질환 바이오시밀러가 꼽힌다. 점안제 매출은 전체 매출(지난해 기준)의 약 26%의 비중을 차지한다. 삼일제약은 지난해 신제품인 레바케이점안액을 출시했다. 레바케이의 아직 출시 초기인 만큼 추가적인 성장이 가능할 전망이다. 레바케이는 레바미피드 성분 안구건조증치료 개량신약으로 안구 건조증의 중요한 원인인 눈물막 파괴와 마찰력 모두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레바미피드는 주로 위궤양, 위염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성분으로 위장관 내 뮤신의 분비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이 성분을 점안제로 사용할 경우 안구의 뮤신 분비가 증가하고 각막 및 결막 상피 장애가 개선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레바미피드 성분은 일본에서 지난 2012년부터 점안액으로 출시돼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레바미피드 성분의 물에 잘 녹지 않는 성질 때문에 현탁액으로 만들어져 이물감과 자극감이 단점으로 지적돼 왔다. 삼일제약의 레바케이는 현탁액 특유의 자극감과 이물감을 개선했다.
또 레바케이는 지속적인 뮤신 분비를 통해 윤활 효과와 더불어 눈물샘 개선 및 안구의 마찰관리를 통해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특징도 지니고 있다. 허가 용법용량은 1일 4회로 디쿠아포솔 등 타 성분 대비 점안횟수를 줄여 복약 편의성 등 경쟁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삼일제약은 레바케이 외에도 히알루론산나트륨 성분의 히아박(점안액), 사이클로스포린 성분의 레스타시스(점안액) 등을 독점 판매하고 있어 급여 안구건조증 치료제의 다양한 라인업도 구축하게 됐다.
삼일제약은 지속적인 신제품 출시를 통해 안과 제품 라인업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삼일제약은 △2021년 프랑스 떼아의 녹내장치료제인 모노프로스트 △미국 엘러간의 안구건조증 치료제 레스타시스 △지난해 삼성바이오에피스의 황반변성, 당뇨병성 망막장애 치료제 바이오시밀러 아멜리부 등을 출시했다. 모노프로스트와 레스타시스는 2022년 각각 84억원, 6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모노프로스트는 지난해 100억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점안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점도 삼일제약에게 유리한 부분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영상단말기 장시간 사용과 미세먼지 등 환경 오염으로 인한 안구건조증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인사이트 파트너스에 따르면 글로벌 점안제 시장 규모는 2022년 157억9000만달러(약 21조원)에서 2030년 237억9000만달러(약 32조원)로 커질 전망이다.
안과질환 바이오시밀러의 잇단 출시도 삼일제약에게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황반변성 치료제 루센티스 바이오시밀러 아멜리부가 지난해 국내에 출시됐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황반변성(황반부종)치료제 아일리아의 바이오시밀러 아필리부도 연내 국내에 출시될 예정이다. 삼일제약은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바이오시밀러 국내 판매를 맡고 있다. 루센티스는 2021년 글로벌 연간 매출이 4조4000억원에 달하는 안과 질환 분야의 블록버스터다. 바이오업계는 루센티스의 국내 시장 규모를 약 320억원으로 추산한다. 아일리아도 연간 12조원 매출을 올리는 블록버스터 제품이다.
베트남 위탁생산 공장 상반기 GMP승인 기대삼일제약은 점안제 위탁생산 사업 확대에도 기대를 걸고 있다. 삼일제약은 글로벌 점안제 위탁생산을 위해 베트남에 공장을 건설했다. 삼일제약은 1200억원을 투자해 2022년 11월 베트남 공장을 준공했다. 삼일제약은 올해 상반기 중 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 승인을 받을 예정이다. 베트남 공장의 본격적인 가동은 내년 초가 예상된다. 베트남 공장은 현재 3개의 라인을 갖추고 있다.
베트남 공장은 최대 8개 라인까지 확대가 가능하다. 3개 라인(8시간 근무)의 현재 생산 능력(케파)은 금액 기준 2000억원 수준이다. 최대 생산능력은 6000억원에 이른다. 만약 8개 라인이 다 깔리게 되면 조단위의 생산도 가능한 상황이다.
이달미 한국IR협의회 기업리서치센터 연구원은 “최근 글로벌 빅파마들은 사업 효율화를 위해 주력이 아닌 사업부에는 신규투자를 하지 않고 생산 공장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며 “점안제의 경우 주로 위탁생산 발주를 통해 제품 생산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점안제 공장의 경우 안과제품만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성이 떨어지게 돼 제조 공장이 많지 않다”며 “국내의 경우 600개의 제약 공장 중에서 점안제 공장은 10개 미만으로 점안제 자체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업체는 몇개가 안된다”고 밝혔다.
이어 “이러한 상황은 글로벌 시장에서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점안제는 대부분 위탁생산 발주를 통해 생산이 이뤄진다”며 “따라서 삼일제약의 베트남 공장은 가동 이후 글로벌 위탁생산 수주 증가가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실제 지난해 16개의 기업이 삼일제약의 베트남 공장에 대한 실사를 다녀간 것으로 전해진다. 삼일제약이 올해 상반기 우수 의약품 제조 품질관리 기준 승인을 받게 되면 국내외 빅파마들의 점안제 수주가 확대될 전망이다. 삼일제약이 국내 안산공장에서 위탁생산을 진행하고 있는 만큼 베트남 공장과 시너지도 기대하고 있다.
삼일제약 관계자는 “안과질환 제품 판매 증가와 더불어 베트남공장 위탁생산도 실적 개선이 이바지할 것”이라며 “계속 좋은 실적을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