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기사는 인쇄용 화면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라파스 대해부]③"오픈이노베이션·제품 판매 확대로 흑자전환 원년"
  • 세계 최초 여드름패치 美시작으로 韓·유럽 등 판매 확대
  • 日제약사와 편두통 패치 공동 개발…올해 하반기 흑자 전환 기대
  • 등록 2023-07-11 오전 9:11:42
  • 수정 2023-07-11 오전 9:11:42
이 기사는 2023년7월11일 9시11분에 팜이데일리 프리미엄 콘텐츠로 선공개 되었습니다. 구독하기
[이데일리 신민준 기자] 라파스(214260)는 올해 영업흑자 전환을 노리고 있다. 라파스는 2006년 설립 이후 매출은 꾸준히 증가했지만 연구개발 비용 증가 등에 따라 7년 연속 영업적자가 지속되고 있다. 라파스는 지난 4월 미국에서 출시한 세계 최초 여드름패치의 판매 지역 확대와 더불어 오픈이노베이션과 자회사와의 시너지 등을 통해 흑자 전환 원년을 이루겠다는 전략이다.

(그래픽=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라파스의 지난해 매출 236억원으로 전년대비 증가했지만 영업손실은 전년보다 적자 폭이 확대된 66억원으로 집계됐다. 라파스는 올해 하반기 흑자 전환을 기대하고 있다. 현재 분위기는 좋은 편이다. 라파스는 올해 1분기 영업손실 폭을 10억원에서 6억원으로 줄였다.

라파스의 사업 로드맵은 화장품을 시작으로 일반의약품, 전문의약품을 거쳐 백신 패치까지 총 4단계로 구성돼있다. 그만큼 연구개발 비용 등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이 때문에 영업 적자가 2016년 이후 7년째 지속되고 있다. 신제품 TV 광고선전비와 홈쇼핑 유통채널 판매 수수료 증가 등이 수익성 악화 요인으로 작용했다.

라파스는 이번 여드름패치으 미국 출시가 흑자 전환의 분수령으로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동안 화장품이 실적 대부분을 차지했던 만큼 의약품으로 수익처가 다변화됐기 때문이다. 존슨앤존슨(J&J)과 닥터자르트, 로레알 등 글로벌 대형 뷰티기업과의 제조업자개발생산(ODM)과 자체브랜드 ‘아크로패스’를 통한 매출이 전체의 85% 이상을 차지한다.

정도현 라파스 대표는 “라파스의 최대 현안은 흑자전환”이라며 “그동안 매출은 꾸준히 증가했지만 영업이익 실현 못하지 못했다. 바이오기업이라면 매출과 영업이익을 발생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팬데믹 시절에도 매출이 성장해온 점은 고무적인 일”이라며 “일반의약품인 여드름패치 출시로 올해 하반기와 내년 상반기 거치면서 안정적인 실적을 확보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라파스는 미국을 시작으로 국내와 유럽에서도 여드름 패치를 출시할 예정이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퍼시스턴스 마켓리서치(Persistence Market Research)에 따르면 전 세계 여드름 치료 시장은 2020년 58억달러 규모로 오는 2031년까지 연평균 6%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에서는 매년 약 5000만명이 여드름 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라파스는 오픈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도 확대하고 있다. 라파스는 일본 오이시코세이도 제약과 나라트립탄 약물을 탑재한 마이크로니들 패치 편두통 치료제를 공동 연구개발한다. 오이시코세이도 제약은 1907년 설립돼 약 100여년 이상 동안 경피약물전달 기술을 이용한 의약품 제조 전문기업이다.

라파스는 자회사와의 시너지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라파스는 동물진단기업 포스트바이오를 비롯해 알러지 진단 및 면역치료 추출 기업 프로라젠 등 8개의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다. 특히 라파스는 포스트바이오가 백신에 대한 기초 기반 기술과 네트워크를 확보하고 있는 만큼 추후 협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정도현 대표는 “라파스는 일반약에 이어 전문약 성과 도출에도 집중해 분야별 제품군은 물론 기술수출 등으로 매출처를 다양하게 확보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마이크로니들 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도 필요하다”며 “일례로 미국과 호주기업들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 자사보다 임상 단계가 뒤쳐져 있었다.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과 투자가 이뤄지면서 임상 단계에서 앞서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도 새로운 기술 분야에 대해 열린 자세로 육성하는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며 “미국 등과 같이 포지티브가 아닌 네거티브 규제 시스템 도입 등을 통해 새로운 기술이 잘 육성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팜투자지수

팜투자지수는 유료 구독자에게만 제공됩니다.

구독하기

마감

의과대학 입학정원 증원 어떻게 생각하세요?

필요하다

134명( 82% )

불필요하다

29명( 17% )

저작권자 © 팜이데일리 - 기사 무단전재, 재배포시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