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기사는 인쇄용 화면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강창율 셀리드 대표 “코로나 백신 내년 상용화...최대 3000억 매출 목표”
  • 등록 2024-09-12 오전 7:40:43
  • 수정 2024-09-20 오전 7:24:51
이 기사는 2024년9월12일 7시40분에 팜이데일리 프리미엄 콘텐츠로 선공개 되었습니다. 구독하기
[이데일리 송영두 기자] 셀리드가 국내 바이오 벤처로는 유일하게 코로나 오미크론 전용 백신 개발 완주에 나선다. 국내 환자 모집은 완료했고, 필리핀과 베트남에서의 임상을 완료 후 올해 하반기 국내에서 품목허가 신청에 나설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상업화 시점을 내년 하반기로 내다보고 있는데, 모더나와 화이자 코로나 백신과 동등한 효능에 50% 낮은 가격으로 시장 안착을 자신하고 있다. 내년 하반기를 시작으로 국내외 동남아 시장에서 최대 3000억원의 매출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11일 셀리드(299660)에 따르면 오미크론 대응 코로나 백신 ‘AdCLD-CoV19-1 OMI’ 임상 3상 시험 투여율이 약 58%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코로나 백신 임상 3상 시험 대상자는 총 4000명으로 이중 2310명에게 투약이 완료됐다. 나머지 환자 투약은 10월 말까지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임상 3상은 코로나19 예방 백신을 접종 완료했거나, 코로나19에 감염돼 격리 해제된 지 최소 16주 이상 된 성인을 대상으로 한다. 화이자 코로나 백신 ‘코미나티2주’를 대조약으로 삼아 후보물질 면역원성과 안전성을 확인한다.

코로나 팬데믹 당시 진원생명과학(011000), 큐라티스(348080), 아이진(185490), 제넥신(095700) 등 다수 기업이 백신 개발에 나섰다, 하지만 대부분 개발을 중단하거나 이후 개발 움직임이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셀리드는 코로나 오미크론 전용 백신 3상 개발 완주 의지를 강력하게 피력하고 있는 국내 유일 기업이다. 대규모 자금이 투여되는 백신 개발인 만큼 작은 바이오 벤처 기업인 셀리드의 코로나 백신 개발 완주 의지는 상당한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강창율 셀리드 대표는 “코로나 환자가 늘어나고 있고, 정부에서도 모더나 등 수입 코로나 백신을 올해도 3300억원 규모로 확보할 만큼 코로나 백신 수요는 꾸준할 것”이라며 “우리 같은 작은 회사가 백신 개발을 하기엔 부담이 크다, 하지만 화이자와의 비교 임상에서 동등성을 확인했고, 무엇보다 허가를 받을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기 때문에 개발을 완주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강창율 셀리드 대표.(사진=셀리드)


올해 말 품목허가 신청, 내년 가을 상용화 목표

셀리드는 정부 지원을 통해 코로나 백신 1상과 2상을 완료했다. 이후 임상 3상 완료를 위해 최근 유상증자까지 단행하며 개발 속도를 높이고 있다. 최근 진행한 232억원 규모 유상증자에서 구주주들로부터 195억원을 확보하는 데 성공해, 코로나 백신 개발에 대한 높은 기대감도 확인했다.

면역원성과 안전성을 확인하는 한국 임상 3상은(코호트 A) 1200명을 대상으로 투약을 완료했다. 현재 필리핀 4개 임상시험 기관에서 추가 임상을 진행 중이고, 베트남에서도 임상 절차를 밟고 있다.

강 대표는 “현재 개발 단계는 코호트 B 단계로 대상자가 특별한 이상 반응이 있는지 점검하는 시험을 필리핀과 베트남에서 진행 중이다. 즉 안전성만 확인하는 단계”라며 “효능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인하는 임상(코호트 A)은 국내에서 이미 올해 4월에 끝났다. 전체 임상 완료는 10월쯤 마무리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현재 속도로는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품목허가부터 상용화까지 1년 안에 마무리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품목허가 신청은 빠르면 올해 말, 늦어도 내년 초에 할 계획이다. 허가 신청 후 일반적으로 약 6개월 정도까지 걸리는 것을 고려하면, 내년 가을쯤에는 자체적으로 정부에 코로나 백신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모더나·화이자 대비 경쟁력↑, 3000억 잭팟 터질까

‘AdCLD-CoV19-1 OMI’는 셀리드가 개발한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기반 백신이다. 회사는 이 백신의 임상 2상 중간 결과에서 코로나19 감염 이력이 없는 대상자의 중화항체가 투여 전과 비교해 투여 후 10배가량 증가한 것을 확인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mRNA 백신과 유사한 결과로 상용화되면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된 첫 코로나 오미크론 전용 백신이 될 전망이다.

특히 강 대표는 모더나와 화이자 백신보다 경쟁력이 높다고 평가했다. 그는 “mRNA와 바이러스 벡터 방식 백신은 각각 장단점이 있다”면서도 “셀리드 개발 백신은 무엇보다 원가 경쟁력에서 모더나 및 화이자 백신보다 월등하다. 약 50% 정도 싼 가격에 공급이 가능하다. 상업화가 되고 정부가 향후 코로나 백신을 국가필수예방접종으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백신 입찰에서도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mRNA 백신인 모더나와 화이자 백신은 1회 접종시 4만~5만원 정도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셀리드 코로나 백신은 50% 수준인 2만원 정도로 가격이 책정될 예정이며, 가격을 더욱 낮출수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강 대표는 “품목허가 과정이 문제없이 진행된다면 상업화 첫해가 될 내년 약 100억원의 매출이 기대된다. 이후 정부 공급이 본격화되면 매출 규모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며 “또 필리핀과 베트남 등 아시아 시장까지 진출하면 원료만 공급해 더욱 싼 가격 책정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약 2000억~3000억원 규모의 매출 발생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팜투자지수

팜투자지수는 유료 구독자에게만 제공됩니다.

구독하기

마감

의과대학 입학정원 증원 어떻게 생각하세요?

필요하다

134명( 82% )

불필요하다

29명( 17% )

저작권자 © 팜이데일리 - 기사 무단전재, 재배포시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