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기사는 인쇄용 화면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차상훈 에이프릴바이오 대표 “룬드벡 내년 상반기 임상 완료, 터닝포인트 될 것”
  • “본업 집중, 다른 사업 눈 돌리지 않겠다”
  • SAFA 첫 임상 데이터 확보, 성장 기폭제
  • 룬드벡 내년 미국 임상 1상 결과가 관건
  • 원천기술의 중요성, 기술수출 계약금 3위
  • 등록 2022-11-24 오전 9:25:42
  • 수정 2022-11-24 오전 9:25:42
이 기사는 2022년11월24일 9시25분에 팜이데일리 프리미엄 콘텐츠로 선공개 되었습니다. 구독하기
[이데일리 김유림 기자] “매출 요건을 맞추기 위해 다른 사업을 할 계획은 없으며, 오직 기술수출로만 실적을 올릴 예정이다.”

차상훈 에이프릴바이오 대표. (사진=김유림 기자)


22일 차상훈 에이프릴바이오(397030) 대표는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기술특례상장 기업은 몇십 년 연속 적자를 내도 매출 요건만 충족하면 상장을 유지할 수 있다. 대부분 바이오 회사들은 핫팩부터 장례식까지 본업과 무관한 사업으로 매출 요건을 채우고 있다. 신약개발에 대한 아무런 성과가 없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반면 차 대표는 본업과 상관없는 사업을 벌여 매출을 일으킬 계획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사실상 기술수출로만 상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다. 그는 “일단은 잘하는 부분을 집중해서 원하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 이후에나 다른 생각을 해보겠다”며 “기본적으로 기술수출이 여러 개 진행된다는 게 국내 바이오벤처들이 이루어 보지 못한 일이다. 에이프릴바이오 포부는 국내 벤처기업도 연속적인 글로벌 기술수출을 할 수 있다는 증명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했다.

에이프릴바이오는 지난 7월 28일 코스닥에 입성한 새내기 상장사다. 최근 한국투자증권 애널리스트 출신 진홍국 이사가 합류하면서 이슈가 되기도 했다. 오랫동안 증권가에서 바이오 섹터 스타 애널리스였던 진 이사는 지난해 알토스바이오로직스의 최고재무책임자(CFO)로 전직한 바 있다. 전직 1년 만에 에이프릴바이오로 갑작스럽게 이직을 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집중됐다.

진 이사는 “에이프릴바이오의 성장성을 보고 왔다. 룬드백이라는 명망 있는 글로벌 제약사에 대규모 기술수출하며 기술력도 입증했다는 생각이다. 에이프릴바이오는 신규상장 회사인만큼 투자자에 회사를 알리는 것이 중요한 상황이다”며 “그동안 바이오 애널리스트로서 기관 투자자들과 소통해온 경험을 기반으로 에이프릴바이오의 기업가치 재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으로 이직하게 됐다”고 말했다.

실제로 에이프릴바이오가 상장 당시 업계의 주목을 받았던 이유는 기술수출 성과다. 비상장사 시절이었던 2021년 10월 에이프릴바이오는 글로벌 50위권 제약사 룬드벡에 전임상 단계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APB-A1’을 기술수출했다. 총 5400억원 규모이며, 반환의무가 없는 계약금은 243억원이다. 국내 바이오 기업이 체결한 기술수출 계약금 중 세 번째로 큰 금액이다.

APB-A1는 SAFA를 적용한 파이프라인이다. 항체에는 면역기능(Effector function)이 있다. 면역기능은 암세포를 죽일 때는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반면 정상 세포 또는 암이 아닌 다른 질환이 타깃일 경우 면역기능이 강한 독성을 유발한다. 제약사들은 면역기능을 없애기 위해 항체에서 FC 수용체라는 것을 잘라버리며, ‘항체 절편’이라 부른다. 항체 절편의 큰 단점은 반감기가 짧다는 점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에이프릴바이오는 항체 절편에 알부민을 붙였고, 이 원천기술이 SAFA인 것이다. 항체 절편에 알부민을 붙임으로써 약효가 오래 지속되도록 하는 게 핵심이다.

룬드벡 기술수출과 관련해 차 대표는 “알부민에 결합해 항체 절편을 이용하는 지속형 기술, 즉 에이프릴바이오가 보유하고 있는 원천기술 SAFA가 매력이 있다고 판단해 룬드벡이 가져간 것”이라며 “원천기술은 세계에서 우리만 쓸 수 있고, 필요하다면 기술 자체도 빌려줄 수도 있다. 사업분야가 무궁무진한 영역이다”고 했다.

룬드벡은 3분기 보고서에서 초기와 중기 단계의 주력 파이프라인(strong progression in the early and mid-stage pipline)으로 총 4개를 언급했다. 이 중 하나가 에이프릴바이오가 기술수출한 APB-A1이다. 현재 미국에서 임상 1상 중이며, 내년 상반기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된다.

상장 당시 시장에서 우려를 제기한 부분 중 하나가 아직 SAFA 기술이 임상에서 검증된 데이터가 없다는 점이다. 내년 룬드벡 APB-A1의 결과가 에이프릴바이오가 성장하는 데 관건일 것으로 전망된다.

차 대표는 “기술이 근본적으로 판매 허가를 받을 수 있을 정도의 물질인지, 인체 내에서 안전하고 효능을 나타낼 정도의 기본기를 갖고 있는 지가 가장 중요한 포인트다”며 “인간 항체는 이미 수많은 신약으로 쓰이고 있기 때문에 물질 자체의 타당성은 간접적으로 증명이 됐다. 룬드벡의 데이터로 안전성만 증명된다면 수많은 기술수출이 일어날 거라고 자신한다”고 덧붙였다.

팜투자지수

팜투자지수는 유료 구독자에게만 제공됩니다.

구독하기

마감

의과대학 입학정원 증원 어떻게 생각하세요?

필요하다

134명( 82% )

불필요하다

29명( 17% )

저작권자 © 팜이데일리 - 기사 무단전재, 재배포시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