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기사는 인쇄용 화면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미래기술25]②한발 앞서가는 美, 정부·산업계 합심 韓 맹추격
  • 무주공산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시장, 미국이 선점
  • 미 정부 마이크로바이옴에 전폭적인 지원, 성과 결실
  • 한국 정부도 10년간 1조1500억 규모 투자 나서
  • 아시아 최고 속도, 유한양행·셀트리온 참여로 신약개발 가속화
  • 등록 2022-10-06 오전 10:03:34
  • 수정 2022-10-11 오전 6:28:16
[이데일리 송영두 기자] 개발만 되면 잭팟이라는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시장에 미국이 일단 깃발을 꽂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직까지 상용화된 치료제가 없어 무주공산인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시장에 미국 기업인 세레스 테라퓨틱스가 제품 상용화를 앞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 따르면 글로벌 마이크로바이옴 헬스케어 시장 규모는 오는 2023년 약 9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세레스가 치료제를 출시하면 최소 조 단위 매출은 보장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세레스는 세계 최초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글로벌 임상 3상에 성공했고,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신청한 상태입니다. 세레스의 이런 신속한 치료제 개발은 미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삼정KPMG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지난 2007년부터 10년간 미국 국립보건원(NIH) 주관으로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HMP)에 10억 달러 이상을 투자했습니다. 오바마 정부 시절인 2016년부터는 국가 마이크로바이옴 이니셔티브(NMI)라는 대형 프로젝트에 약 6억2000만 달러를 투자해 마이크로바이옴 R&D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유럽도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개발에 정부 차원의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유럽연합(EU)은 2008년 전 세계 과학 커뮤니티에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국제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컨소시엄(IHMC)을 발족했고, ‘Horizon 2020’ 프로그램을 통해 5년 동안 1200만 유로 예산을 투입, 장내 마이크로바이옴과 인체 건강의 영향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한국은 늦었지만, 최근 정부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이 예고되면서 미국을 빠른 속도로 추격할 것으로 관측됩니다. 고바이오랩과 지놈앤컴퍼니 등 국내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개발 기업들은 임상 2상에 진입했는데, 이는 아시아 국가 중 가장 빠른 속도입니다. 전문가들은 세계적으로 소수의 몇 개 기업을 제외하고는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개발이 전임상 또는 임상 1상에 머무르고 있다는 점이 국내 기업들에게 큰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12월 정부는 범부처 프로젝트인 ‘국가 마이크로바이옴 이니셔티브’를 추진키로 하고 2023년부터 2032년까지 1조1506억원을 지원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현재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정부 투자 계획과 맞물려 국내 대형 제약사와 바이오 기업들의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진출 러시는 상당한 시너지가 예상됩니다.

국내 최고 제약사인 유한양행(000100)은 9월 15일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연구개발 기업 에이투젠을 인수했습니다. 100억원을 투자해 지분 59.9%를 확보해 최대 주주로 올라섰고, 내년 초 별도 유상증자를 통해 추가 지분을 확보한다는 계획입니다. 유한양행은 에이투젠 인수에 앞서 마이크로바이옴 기업 메디오젠과 지아이바이옴에 각각 230억원과 50억원을 투자하는 등 마이크로바이옴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습니다. 특히 국산 폐암 신약 렉라자를 개발한 노하우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국내 최대 바이오 기업인 셀트리온(068270)은 마이크로바이옴 전문기업 고바이오랩(348150)과 손을 잡았습니다. 고바이오랩과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공동개발 협약을 맺었습니다. 두 회사는 고바이오랩 스마티옴(SMARTiome) 플랫폼 기술을 활용해 과민성대사증후군, 아토피피부염 치료 물질을 발굴할 계획입니다. 셀트리온의 바이오시밀러 및 신약개발 역량과 고바이오랩의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역량이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마이크로바이옴 분야 아시아 강자인 고바이오랩(348150)지놈앤컴퍼니(314130), 지난해 천랩을 인수해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개발에 뛰어든 CJ(001040)바이오사이언스. 여기에 국내를 대표하는 제약·바이오 기업인 유한양행과 셀트리온의 신약개발 참전은 한국산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마감

의과대학 입학정원 증원 어떻게 생각하세요?

필요하다

134명( 82% )

불필요하다

29명( 17% )

저작권자 © 팜이데일리 - 기사 무단전재, 재배포시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