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이데일리 프리미엄 기사를 무단 전재·유포하는 행위는 불법이며 형사 처벌 대상입니다.
이에 대해 팜이데일리는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 강력히 대응합니다.
[이데일리 신민준 기자] 레이(228670)는 글로벌 치과용 영상진단기업 중 유일하게 치과 진단부터 진료까지 한번에 이어지는 종합 디지털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이를 통해 레이는 여러 차례 병원을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을 획기적(하루 1회)으로 단축시켰다. 아울러 레이는 3차원에 이은 차세대 치과 영상 진단 솔루션 5D 레이(RAY)도 개발했다.
 | 디지털 덴탈솔루션 라인업. (이미지=레이) |
|
치과·치과기공소 모든 작업 디지털화 성공 레이는 국내 치과용 영상 진단 분야의 선두주자로 여겨진다. 레이는 치과용 2차원 엑스레이(X-ray) 및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장치(CT) 등 디지털진단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레이는 3차원 스캔, 치과용 캐드, 3차원 프린팅 등 디지털 치료 솔루션도 갖추고 있다.
레이의 강점으로 치과와 치과기공소의 모든 작업을 디지털화해 일관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 꼽힌다. 레이가 △스캔(구강 내외 질환 진단·촬영) △디자인(보철물 제작을 위한 컴퓨터보조설계(CAD) 디자인) △메이크(보철물 등의 직접 제작) △투명교정 △융합 소프트웨어 △플랫폼 등 치과 및 치과기공소의 업무 흐름과 관련된 모든 제품 라인업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콘빔CBCT와 구강스캔, 3차원 프린터, 밀링기 30여종의 제품을 보유하고 있다.
레이는 치과질환 진단부터 치료까지 하루에 가능한 원데이(One Day) 치료지원 시스템도 운영하고 있다. 기존 시스템의 경우 짧게는 5일에서 길게는 4개월이 소요됐다.
이는 스캔과 디자인, 메이크 등 치과와 치과기공소의 업무 흐름이 각각 별도로 구성돼 있기 때문이다. 레이는 치과 내에서 스캔부터 디자인, 메이크까지 모두 가능해 하루에 가능한 것이다.
이상철 레이 대표는 “레이는 진단부터 치료 솔루션까지 모든 과정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해 데이터 이동 및 변환의 불필요성을 제거했다”며 “레이의 시스템을 원데이 치료지원 시스템을 활용하면 다양한 소프트웨어 와 장비 사용의 번거로움 없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모든 과정이 처리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레이의 시스템은 오픈형으로 타사 제품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도 통합 시스템으로서의 강점을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레이는 자체 개발 플랫폼인 레이팀즈(RAYTeams)도 곧 상용화할 예정이다. 레이팀즈의 핵심은 치과용 의료기기업계 최초로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해 치과와 치과, 치과와 치과기공소간 협업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레이팀즈는 △클라우드 저장과 △웹기반 소프트웨어 구동 △화상회의 △병원과 병원. 병원과 치과기공소간 협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는 “여태까지 레이가 쌓아온 임상 데이터와 컴퓨터보조설계 디자인 등 경쟁력 있는 소프트웨어를 보유한 점이 강점”이라며 “해외의 경우 네트워크 병원이 많기 때문에 레이팀즈에 대한 수요가 많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 5차원 치과 영상 진단 솔루션. (이미지=레이) |
|
5D 레이 솔루션 등 글로벌 최고 기술력 보유 레이는 차세대 치과 영상 진단 솔루션도 개발했다. 5D 레이 솔루션은 3차원 콘빔컴퓨터단층촬영장치(CBCT)에 더해 △안면 스캐너 △구강 스캔 △해부학 구조물 데이터를 통합해 인공지능(AI) 가상환자를 제공한다.
5D 레이 솔루션은 이를 통해 획득한 다양한 데이터를 자동 정렬한다. 5D 레이 솔루션은 환자의 신경관, 치아뿌리 뼈 등의 해부학 구조를 시각화해 입체적인 환자 모델을 구현한다.
5D 레이 솔루션은 인공지능(AI)이 자동으로 진단에 최적화된 영상을 재구성한다. 의료진은 환자와 함께 치료 부위를 직관적으로 확인하며 임플란트 등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
레이가 이런 경쟁력을 보유할 수 있는 밑바탕에는 독보적인 기술력이 있다. 레이는 글로벌 최초로 보이는 엑스레이 가이드(Visible X-ray Guide) 적용 스캔을 개발했다. 레이는 글로벌 최고 수준의 복셀(Voxel, 2차원적인 픽셀을 3차원 형태로 구현한 것) 사이즈의 70마이크로미터(㎛) 고화질(HD) 이미지 컴퓨터단층촬영장치 기술도 보유하고 있다.
아울러 레이는 복셀 사이즈의 35마이크로미터(㎛) 덴탈 전용 고화질 마이크로 컴퓨터단층촬영장치와 원하는대로 설정이 가능한 라이트 가이드 프리 시야각(Light Guided Free FOV) 기술도 갖추고 있다.
레이는 국내 최초로 파노라마 엑스레이(X-ray) 장비 레이스캔 알파-피(RAYScan α-P)가 이동형 치과 검진 차량에도 탑재됐다. 국내에서 치과용 방사선 장비가 차량에 설치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전해진다. 레이가 정부가 주관한 공공 보건 사업자로 선정된 것은 그만큼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레이는 38개(디자인 특허 포함)의 특허를 등록했다. 레이는 44개의 상표권도 보유하고 있다. 레이는 국제 디자인 어워드에서 3관왕을 수상한 이력도 있다.
이상철 레이 대표는 “레이는 연구개발의 품질 향상과 차별화를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예컨데 연구개발 연구개발 인력이 100여명에 달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는 전체 인력의 26% 수준”이라며 “연구개발비용도 전체 매출의 10% 이상을 투자하고 있으며 투자 규모도 매년 확대 추세”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