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기사는 인쇄용 화면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일라이릴리, 노보노디스크에 비만약 점유율 앞섰다...AI가 가른 승부?[AI헬스케어]
  • 등록 2025-05-06 오후 1:31:24
  • 수정 2025-05-06 오후 4:12:06
[이데일리 김승권 기자] 글로벌 비만치료제 시장에서 미국 일라이릴리가 덴마크 노보노디스크를 제치고 점유율 선두 자리를 차지했다.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신약 개발 전략이 경쟁 구도를 가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일라이릴리는 오픈AI, 크리스탈 파이 등 다양한 기술 기업들과의 협업을 통해 임상 설계 및 실시간 데이터 활용, 약물 개발 경로를 혁신적으로 개선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음 격전지가 될 경구용 비만 치료제에서도 일라이릴리가 앞서고 있다는 평가다. 최근 미국의 일라이릴리가 개발한 오포글리프론이라는 경구용 비만 치료제가 임상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도출했다.

GLP-1 치료제 경쟁력 차이는

6일 미국 외신 보도에 따르면 미국 일라이릴리는 지난 1분기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주사형, 경구용)과 GIP 이중 작용 메커니즘 의약품 점유율 53.3%로 노보노디스크(46.1%)를 앞질렀다. 시가총액에서 앞선 이후 점유율까지 앞지른 것이다. 일라이릴리의 6일 기준 시가총액은 7785억불(약 1081조원)이며 노보노디스크는 2327억불(약 323조원)으로 격차가 벌어지는 추세다.

일라이릴리가 GLP-1 비만치료제 1분기 점유율에서 노보노디스크 비만치료제 점유율을 앞선 모습 (데이터=일라이릴리)
노보노디스크는 2021년 주사형 비만치료제 ‘위고비’를 출시해 3년간 시장을 주도했다. 하지만 최근 차세대 신약 ‘카그리세마’의 임상 결과가 기대에 미치지 않으면서 주가가 30% 이상 급락했다. 반면 일라이릴리는 지난달 경구용 비만치료제 ‘오포글리프론’의 임상 3상에서 9개월 복용 시 평균 7.3kg 체중 감량 효과를 입증하며 주가가 15% 이상 상승했다.

일라이릴리의 ‘젭바운드’는 GLP-1과 GIP 이중 작용 메커니즘으로 위고비 대비 22%의 우수한 체중 감소율을 기록했다. 투약 편의성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는데, 주사제인 위고비와 달리 젭바운드는 경구제 형태로 개발돼 환자 접근성이 높아질 전망이다. 생산 역량 측면에서는 일라이릴리가 2020년 이후 500억 달러(약 70조 원)를 시설 확장에 투자하며 노보노디스크를 앞섰다.

AI 전략의 극명한 대비

두 회사의 격차가 벌어진 이유로 제품 외 AI 활용 부분도 언급된다. 일라이릴리는 오픈AI·크리스탈 파이 등과 협력해 100여 개 신약 프로젝트를 동시 진행하며 AI를 전 과정에 활용했다. 최근 RNA 표적화 AI 플랫폼 보유업체인 제네틱 리프와 6500억 원 규모 계약을 체결하며 기술 우위를 확보했다.

반면 노보노디스크는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해 자체 플랫폼을 구축했으나, 주로 효율성 개선에 집중해 AI 활용도에서 차이가 난 것으로 지적받았다. 프랑스의 에비덴(Eviden)과 계약을 맺고 다량의 엔비디아 DGX H100 시스템으로 구성된 슈퍼컴퓨터 ‘게피온’ 도입도 추진 중이지만, 실질적 성과는 미지수다.

이제 시장의 핵심 경쟁 포인트는 ‘먹는 비만약’으로 옮겨가고 있다. 일라이릴리는 오포글리프론의 FDA 승인을 올해 안에 신청할 계획이다.

반면, 노보노디스크의 경구용 ‘아미크레틴’은 2상에서 추가 임상을 준비 중이다. 위고비의 경구용 제품은 연내 승인을 위해 최근 FDA에 신청해둔 상태지만 약효에서 밀린다는 평가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일라이릴리가 빠르게 우위를 점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AI를 통한 신속한 의사결정이 시장 선점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며 “2030년 글로벌 비만치료제 시장이 75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경구제 경쟁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한다. 노보노디스크의 100년 역사가 무너지지 않으려면 개방형 혁신 전략으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마감

국내 비만치료제 개발 기업 중 가장 기대되는 곳은?

1. 한미약품

255명( 29% )

2. 디앤디파마텍

115명( 13% )

3. 동아에스티

50명( 5% )

4. 디엑스앤브이엑스

16명( 1% )

5. 펩트론

324명( 37% )

6. 기타 (댓글로)

110명( 12% )

저작권자 © 팜이데일리 - 기사 무단전재, 재배포시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