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새미 기자] 올해 창립 84주년을 맞은 종근당(185750)이 50여 년 만에 새로운 기업 아이덴티티(CI)를 공개하며 글로벌 제약사로 도약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했다.
 | 종근당의 신규 CI (사진=종근당) |
|
종근당은 7일 충정로 종근당 본사에서 열린 제84회 창립기념식에서 새롭게 개편한 CI를 선포하며 미래 비전을 다짐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에 공개된 CI는 기존의 CI에서 심볼과 서체, 색상에 변화를 주어 글로벌 지향의 이미지를 강조했다. 글로벌 시장에서 널리 활용될 영문 CI는 종근당의 영문 기업명 ‘ChongKunDang’을 ‘CKD’로 축약해 간결하게 표현했다.
종근당은 1950년대 화합물을 상징하는 육각형 안에 희생, 봉사, 건강을 상징하는 십자(+)를 넣어 처음 심볼마크를 선보이며 제약업으로 국민보건 향상에 앞장서겠다는 의지를 표현했다.
종을 기업의 심볼로 사용한 것은 1960년 디자인 공모로부터 시작됐다. 당시 당선된 작품은 서울대 미대생이 교회에서 울리는 새벽 종소리에서 영감을 받아 한글 ‘종’자와 종(鐘)의 단면을 결합해 단순한 선으로 표현했다. 국내 최초 원료의약품 합성공장을 준공해 우리 손으로 직접 의약품을 만들기 시작하던 시기에 생명존중의 이념을 담았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 종근당 CI의 변천사 (사진=종근당) |
|
1960년대 말에는 인간존중의 정신과 우주의 완벽을 상징하는 원을 그려 넣어 완벽한 품질의 의약품을 생산하겠다는 신념을 표현했다. 1970년대 초 심볼을 감싸는 원형 테두리에 ‘SERVING HUMAN HEALTH EVERYWHERE(어디서나 인류 건강에 봉사)’라는 영문을 넣어 의약품 수출의 물꼬를 트고 국제화 시대에 발맞추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1970년대 중반에는 슬로건을 ‘BETTER LIFE THROUGH BETTER MEDICINE(더 좋은 의약품을 통한 더 나은 삶)’으로 교체했다. 한국 서예의 대가로 불리는 김충현 선생의 일중체로 제작한 서체 ‘종근당’과 조합해 현재까지 종근당의 CI로 사용됐다.
이번에 새롭게 바뀌는 CI는 심볼은 기존 형태는 유지하되 종의 크기를 키워 종근당의 상징을 부각했다. 종을 감싸고 있는 원형 지름을 넓히고 원형 테두리 안에 쓰인 슬로건의 폰트를 확대해 인류 건강을 위한 기업의 사명을 강조했다.
서체는 종근당이 자체개발한 ‘종근당 미래체’를 적용했다. 종근당 미래체는 디지털 시대에 맞춰 돋움체와 굴림체의 조화를 통해 기업의 진취적 기상을 표현했다. 로고 색상은 종근당의 시그니처 색상인 기존 ‘청색’이 가진 탄생, 생명, 희망 등의 의미를 유지하면서 명도를 한층 높여 기업의 밝은 미래와 환경 친화적인 이미지를 제고했다.
이장한 종근당 회장은 “새로운 CI와 함께 글로벌 제약기업으로 도약하고 종근당의 미래 비전인 ‘Creative K-healthcare DNA(CKD)’를 실현해 ‘한 사람에서 전 인류까지, 예방부터 치료까지 제약기술 혁신으로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기여한다’는 제약기업의 사명을 이뤄낼 것”이라고 말했다.
종근당은 신규 CI를 종근당과 계열사의 모든 제작물과 서식에 적용하고 있다. 충정로 본사를 비롯해 전국 각 지점 및 사무소, 공장과 해외법인의 옥외 간판이 교체됐다. 임직원들의 명함과 사원증, 사내·외 모든 시설물과 제품 패키지도 신규 CI로 제작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