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새미 기자] 삼성이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Life Science Fund)를 통해 유전자 편집 기술을 가진 미국 아버 바이오테크놀로지(이하 아버 바이오)에 투자한다고 30일 밝혔다.
 | | 아버 바이오 로고 (사진=삼성바이오에피스) |
|
삼성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는 삼성물산(028260),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공동으로 출자해 조성한 벤처 투자 펀드이다. 생명과학 분야 신기술·사업 개발을 위해 조성했으며, 삼성벤처투자가 조합을 결성해 운용 중이다.
삼성은 유전자 편집 기술을 보유한 아버 바이오 투자를 통해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신사업 기회를 탐색하고, 유전자 편집 기술 연구를 위한 협업 가능성을 모색할 계획이다.
아버 바이오는 유전자의 특정 위치를 인식해 절단하고 특정 유전자를 삽입, 삭제, 변형, 치환할 수 있는 기술인 유전자 편집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유전자 편집 기술은 유전성 난치 질환, 혈액 질환, 암, 선천성 질환 등 다양한 질병의 치료와 예방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아버 바이오는 인공지능(AI)·머신러닝 기반 예측 기법과 고속 실험 검증(High-throughput screening) 수행을 통해 다양한 크기와 기능의 최적화된 효소를 보유하고 있다. 이를 통해 대부분의 인간 유전체에 대한 편집이 가능하다.
아버 바이오의 공동 창업자 펑 장(Feng Zhang) 박사는 크리스퍼-카스2(CRISPR-Cas2) 기반 유전자 편집 기술의 동물·인간 세포 내 응용 가능성 측면에서 혁신적 기여를 한 인물이다. 그는 미국 나스닥 상장사 에디타스 메디슨(Editas Medicine)와 빔 테라퓨틱스(Beam Therapeutics)를 공동 설립한 유전자 편집 기술의 세계적인 권위자다.
삼성바이오에피스 김윤철 Enable팀장(상무)은 “유전자 편집은 유전자 연관 질병 치료의 핵심 기술”이라며 “아버 바이오는 유전자 편집 기술에 높은 전문성과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해당 분야의 유망 기업”고 말했다.
한편 삼성벤처투자가 운용 중인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는 2022년부터 현재까지 유전자 치료제부터 항체-약물 접합체(ADC), 혈중 단백질 분석 기술, 생성형 AI 기반 단백질 신약 개발, 유전자 편집 기술까지 투자 분야를 다각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