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이광수 기자] 한국은 토스, 마켓컬리, 우아한 형제들(배달의 민족) 등 IT를 기반으로 불뚝선 다수 유니콘 기업을 배출했지만, 글로벌 시장과 비교해 유달리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는 분야가 있다. 바로 비대면 의료다. 비대면 의료는 환자와 의료인이 대면하지 않고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모든 의료 형태를 뜻한다. 크게 원격의료와 디지털치료제로 분류할 수 있다.
유럽과 미국 등에서는 비대면 의료 산업에서 여러 유니콘 기업을 배출한데다, 대기업과 인수합병(M&A)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그들 나라 국민의 일상에는 비대면 의료가 자연스럽게 녹아 들어있지만, 국내에선 여전히 생소하다. 전문가들에게도 ‘언젠가는 가야할 방향’이면서도, 언제가 될지는 아무도 모르는 불확실한 영역으로 남아있다.
| (사진=텔라닥) |
|
팬데믹에 한 번 더 급성장한 글로벌 비대면 의료 미국에서는 텔라닥(TDOC) 애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아 계정을 설정하면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전화나 화상을 통해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텔라닥이 제시하는 대기시간은 단 ‘10분’이다. 아마존과 협업해 인공지능(AI)비서 ‘알렉사’가 탑재됐다. “의사와 상담하고 싶다”는 말을 하면 10분안에 독감이나 감염, 알레르기, 성병, 스트레스, 정신과 상담까지 모두 가능하다. 필요하다면 가까운 약국을 선택해 약을 처방받는 것까지 끝낼 수 있다.
미국 원격의료 대장주로 꼽히는 텔라닥은 2015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했다. 코로나19 팬데믹에 한때 시가총액 30조원에 달했다. 7000만명 이상의 고객을 확보했고 개인 뿐 아니라 기업 고객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있다. 경기침체 우려에 성장주가 고꾸라졌음에도 불구하고 텔라닥의 시가총액은 최근 종가 기준 6조8750억원이다. 국내 증시로 따지자면
한화솔루션(009830)과 비슷한 수준으로
현대글로비스(086280) 롯데케미칼(011170) 넷마블(251270) LG유플러스(032640) 등보다 높은 몸값이다.
우리에게 더욱 생소한 서비스도 일반화 되어 있다. 나스닥에 상장된 스마일다이렉트클럽(SDC)은 원격 교정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회사가 운영하는 오프라인 ‘스마일숍’에 방문하거나 관련 장비가 포함된 키트(kit)를 배송받아 구강을 스캔해서 회사에 보낸다. 회사 소속 의료진이 이미지와 사진, 병력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맞춤형 투명 교정장치를 처방한다. 치료 경과를 온라인 화상 등으로 확인해 교정장치를 바꾸는 절차를 반복하는 것이다.
이 회사는 2019년 1조원에 육박하는 매출을 기록했다. 이익이 발생하지 않는 바이오벤처로 최근 주가가 급락해 시총은 5000억원 규모로 쪼그라들었지만 불과 작년만해도 수조원대의 몸값을 자랑했다.
| [표=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
|
국내는 의미있는 시장도 갖추지 못했지만, 미국에는 수조원의 기업가치로 이미 상장시장에 데뷔한 이유는 비대면 의료가 불법이 아니어서다. 미국은 주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었찌만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재진과 초진 제한없이 페이스타임 또는 스카이프 등을 통한 비대면 진료도 허용했다. 일본과 캐나다, 호주 등도 마찬가지다. 이들 국가는 제한적으로 허용했지만, 시간이 갈수록 점차 허용 범위를 넓히고 있다는 점에서 국내 상황과는 크게 차이난다.
20년 지났지만…국내는 찬반 논의 수준 못 벗어나국내에서는 2002년 원격의료가 최초로 도입됐다. ‘의료인-의료인’에 대해서 원격협진을 허용한 것이다. 2006년에는 환자를 대상으로 원격진료 시범사업을 시행했다가 의료계 반대로 시범에 그쳐야했다. 그 이후 원격진료와 처방을 허용하는 내용을 담은 의료법 개정안이 2010년, 2014년, 2016년 잇달아 발의됐지만 모두 의료계 등의 반대로 무산됐다.
의료계는 비대면 의료 서비스가 오진과 약 오남용 등 의료 사고 가능성이 크다고 반대해 왔다. 특히 최근에는 약 배달 서비스에 대해서 약사 단체들의 반대가 거셌다. 이 분야 선두 업체인 닥터나우와는 약사회와의 소송 등으로 갈등의 골만 깊어지는 상황이다.
그 사이 글로벌 시장은 매년 꾸준히 성장해왔다. 그랜드 뷰 리서치에 따르면 비대면 의료 제품과 서비스를 포함하는 글로벌 시장 규모는 2019년 414억달러에서 2017년에는 1551억달러로 증가해 연 평균 15.1%씩 성장할 것으로 분석됐다.
황인창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향후 원격의료 허용범위 확대에 대한 요구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잠재적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환자 중심의 의료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관련 논의를 시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나마 윤석열 정부가 국정과제에 비대면 의료 제도화를 포함시켜 규제 개혁에 속도를 내고 있다는 점은 고무적이다. 코로나19 팬데믹에 한시적으로 허용된 비대면 의료의 필요성을 공감해서다. 하지만 현실은 여전히 녹록지 않은 형국이다. 실제 복지부는 지난 22일 비대면 진료를 포함해 현안을 논의하는 ‘보건의료발전협의체’ 회의를 진행했지만 약 자판기 도입에 반대하는 대한약사회가 불참하면서 제도화에 제동이 걸린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