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송영두 기자] 그간 유전자증폭(PCR) 검사 중심이던 코로나19 진단체계가 3일을 기점으로 자가진단 중심으로 전환됐다. 기존 PCR 검사는 60세 이상 고령자, 신속항원검사 양성 등 고위험군만 가능하다.
이 외 사람들은 보건소 등 선별진료소를 비롯해 동네의원, 호흡기클리닉 등에서 신속항원검사를 받을수 있다. 약국과 편의점, 온라인으로 자가진단키트를 구매하면 집에서도 자가검사를 할수있다.
검사체계 전환은 지난달 21일 김부겸 국무총리가 언급하면서 공식화됐다. 고위험군에 해당하지 않거나 증상이 없는 경우에도 선별진료소에서 가능했던 PCR 검사가 불가능해지자 자가진단키트에 수요가 몰리고 있다. 이 결과 약국과 편의점, 온라인 등 자가진단키트 구매가 가능한 곳에서는 품절 사태가 일어났다. 1개 기준 정가 9000원이던 키트는 그간 수요가 없어 3000원대 까지 가격이 내려갔었다. 하지만 진단체계 전환이 공식화되면서 수요 부족사태로 4~6만원대까지 치솟았다.
마치 과거 마스크 대란을 방불케한다. 약국 내 자가진단키트 판매대는 텅 비었고, 온라인에서는 품절 문구가 가득하다. 온라인상에서는 자가진단키트 구매에 실패한 사람들의 글로 넘쳐난다. 자가진단키트 제조사들은 공급 물량 확대를 위해 설 연휴도 반납하고 공장을 돌렸지만 역부족이다.
정부가 마스크 대란 사태를 겪고도 자가진단키트 태부족 사태, 즉 제2 마스크 사태를 야기했다는 비판이 쏟아진다. 일반 사람들이 자가진단키트 구매에 목매달 이유는 없다. 희망하면 동네병원이나 호흡기클리닉에서 진료비 5000원을 부담하고 검사를 받을 수 있다. 뒤늦게나마 정부가 나서 자가진단키트의 원활한 공급을 약속하고, 가격 조정에도 나서는 모양새다.
정부의 이번 진단체계 전환은 대국민 홍보가 부족했고, 자가진단키트 구매 예측도 실패했다는 평가다. 정책 시행에 앞서 다각적 검토와 대비책이 부족했다는 게 전문가들과 업계 지적이다. 특히 자가진단 확대는 실제 진단 정확도가 20%에 불과한 자가진단키트에 의존하는 것이어서 자칫 확진자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될 우려도 제기된다. 국민은 방역 선진국이라고 자화자찬만하는 정부가 아닌, 소 잃고 외양간이라도 고치는 정부를 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