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기사는 인쇄용 화면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ADC 항암 신약에 뛰어드는 제약사들…항체·링커·약물 확보 관건
  • 글로벌 ADC 시장 2027년 22조 규모로 성장 예상
  • 알테오젠, 항체 기반으로 유방암 임상 1상까지 마쳐
  • 레고켐, 링커 기술 특화…한미약품 협업 및 자체개발
  • 아직 개발 초기 단계…3개 기술 확보에 시간·비용 소요
  • 등록 2021-08-26 오후 5:37:23
  • 수정 2021-08-26 오후 5:37:23
[이데일리 왕해나 기자] 국내 제약·바이오사들이 차세대 신약 플랫폼으로 떠오르는 약물·항체 접합체(ADC) 신약 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지난해 40억달러(4조7000억원)이었던 글로벌 ADC 시장이 2027년 190억달러(22조2000억) 규모로 급격하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ADC 신약 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항체와 약물(항암제), 링커 3가지를 모두 보유해야 하는 만큼 일반 신약보다 개발기간이 더 길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ADC 항암제는 암세포를 잘 찾아가지만 상대적으로 약효가 떨어지는 항체와, 약효는 뛰어나지만 정상세포도 파괴하는 등 부작용이 심한 항암제의 장점만을 취한 것이 특징이다. ADC 항암제를 만들기 위해서는 항체, 항암제 둘을 잇는 링커(linker)가 필요하다. 이미 항체기술을 보유한 업체들이 포트폴리오 확장을 위해 ADC 신약 개발에 나서는 경우가 많다. 링커는 미국 시젠(구 시애틀 제네틱스)의 링커, 항암제는 세포독성항암제인 MMMA, MMAF 등이 활용되고 있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ADC 항암제를 만들기 위해서는 항체, 링커, 항암제가 모두 있어야 한다”면서 “통상 항체 회사가 특허가 만료된 기술을 사용하거나 자체적으로 기술을 개발해 신약을 만든다”고 말했다.

대표적인 기업이 알테오젠(196170)이다. 알테오젠은 자체적인 ‘항체’ 기술 Nexmab을 통해 ADC 항암제를 개발하고 있다. 국내에서 ADC 항암제 개발 단계가 가장 앞서있다. 지난 3일 발표한 유방암 치료제 후보물질 ALT-P7 국내 1상 결과, 유효성 입증 기준인 완전관해(CR), 부분관해(PR), 불변(SD) 지표를 모두 더한 질병관리율(DCR)이 72%(25명 중 18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체를 개량해 결합력을 증대시킨 난소암 치료제 ALT-Q5도 개발 중이다. 지난 3일 ALT-Q5 관련 국내 특허도 확보했다. 엄민용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1세대 ADC 항암제에서 지적된 엔허투(Enhertu)의 폐 관련 부작용이 없고, 면역원성도 없는 임상 1상 결과로 유효성 높은 항암효과 및 임상 2상 결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항체 기업인 셀트리온(068270)은 2019년부터 캐나다 아이프로젠과 허쥬마, 트룩시마 등 다양한 타깃에 대해 ADC 신약을 발굴하고 있다. 최근에는 영국의 ADC 개발 전문기업 익수다 테라퓨틱스에 지분 투자를 단행했다.

레고켐바이오(141080)는 항체와 약물을 결합하는 ‘링커’에 특화된 회사다. 항체와 약물이 얼마나 안정적으로 결합하느냐에 따라 항암제의 유효성이나 안전성이 크게 좌우되는 만큼 링커의 중요성은 크다. 레고켐바이오는 항체 기술을 가진 회사와 공동개발하거나 항체 기술을 이전받아 ADC 항암제를 개발하고 있다.

한미약품(128940)과는 북경한미가 만든 이중항체 플랫폼 펜탐바디를 레고켐바이오가 보유한 ADC 플랫폼을 적용해 이중항체 ADC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있다. 펜탐바디 기술을 적용하면 하나의 항체가 두 개의 다른 표적에 따로 결합, 면역체계를 활성화하는 동시에 암세포만 골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자체 개발을 위해서는 지난 5월 이탈리아의 메디테라니아 테라노스틱이 개발한 Trop-2 항체를 도입했다. 내년 초 임상시험을 시작할 예정이다. 엄민용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레고켐바이오는 Trop-2 표적 ADC로 임상 1상에 자체적으로 진입해 기술이전 규모를 최대화할 예정”이라며 “1상에 진입한 후 기술이전하게 될 경우, 규모는 현재까지의 건당 평균 3300억원 수준을 크게 넘어설 것”이라고 추정했다.

인투셀도 링커 기술에 방점을 찍었다. 고형암 치료제 B7H3 ADC가 후보물질을 확정하고 비임상에 들어갔다. DLL3 ADC는 올해 비임상 후보 물질 도출을 계획하고 있다. 앱티스 역시 앱클릭이라는 링커 기술을 가진 회사다. 항체 발굴 기술을 가진 앱클론과 손잡과 ADC 신약 개발을 시작했다. 피노바이오는 ADC 항암제의 3가지 구성요소 중 항암제에 주목했다. 항암 효능이 좋으면서도 독성이 약한 약물을 붙여 3세대 ADC 항암제를 만들겠다는 방침이다.

관건은 시간과 비용이다. 세 가지 기술을 모두 확보하는데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리는데다, 차세대 신약 플랫폼이다보니 임상시험계획을 승인받는데도 어려움이 따른다. 임상에 진입했거나 임상을 앞두고 있는 회사는 알테오젠과 레고켐바이오 정도다. 한 ADC 항암제 개발사 관계자는 “항암제 하나를 개발하는데도 수년의 시간이 드는데 여기에 항체와 링커 기술까지 확보하려면 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 것”이라면서 “ADC 항암제는 바이오와 케미컬이 합쳐진 신약이다보니 임상시험계획을 허가받는데도 여러 개의 부서를 거쳐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각 분야에 강점을 가진 업체들이 활발한 협업을 해야 ADC 항암 신약의 탄생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마감

의과대학 입학정원 증원 어떻게 생각하세요?

필요하다

134명( 82% )

불필요하다

29명( 17% )

저작권자 © 팜이데일리 - 기사 무단전재, 재배포시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