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류성 제약·바이오 전문기자] “인바디의 경쟁상대는 오로지 인바디뿐이다. 인바디는 퍼스트무버로서 그동안 세상에 없던 제품을 내놓으며 세계 시장을 선도해왔다. 앞으로도 인바디가 나아가야할 유일한 길은 꾸준히 기술개발에 힘쓰며 시장을 리딩할 수 있는 혁신제품을 내놓는 것이다.”
 | 차기철 인바디 대표. 인바디 제공 |
|
차기철 인바디 대표는 이제는 ‘인바디(InBody)’라는 회사명 및 브랜드가 글로벌하게 체성분 분석기를 일컫는 대명사로 확고하게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 미국 대학의 스포츠 영양학 교재에는 인바디 제품을 사진과 곁들이면서 체성분 분석을 설명하는 내용이 담길 정도로 인바디의 명성은 국내보다 해외에서 더 알려져있다. 일본에서는 인바디를 이용한 연구 논문이 지금까지 무려 1000여편 발표됐다. 글로벌하게 인체 내 영양, 수분 균형 등을 다루는 체성분 관련 논문은 99% 이상 인바디 장비를 활용하는 것으로 집계된다.
차대표는 “세계적으로 인바디 제품을 각종 연구에 활용하고 교육한다는 것 자체가 인바디의 높은 위상을 단적으로 말해준다”면서 “지난해 세계 최고 병원으로 꼽히는 미국의 메이요클리닉에서도 인바디 제품을 다른 장비와 비교 연구, 높은 정밀도를 보인다는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고 소개했다.
지난해부터 코로나19가 세계적으로 대유행하는 악조건 속에서도 인바디는 세계 체성분 분석기 1등기업으로서 저력을 보이고 있다는 평가다. 특히 인바디는 이 회사 제품의 핵심 고객인 헬스클럽들이 지난해 코로나19로 거의 휴업인 상황에서도 매출 감소폭을 8%로 최소화하면서 업계의 부러움을 사고있다.
인바디는 특히 병원, 진료센터, 피트니스 센터 등 B2B 시장에서 대표적 체성분 분석기 전문기업으로서 독보적인 입지를 구축했다. 이 분야의 시장 점유율은 60%에 달한다.
“지난해 인바디가 선방한 배경에는 수요가 급증한 가정용 인바디가 자리한다. 헬스클럽등 핵심 시장이 코로나19로 문을 닫으면서 가정용 인바디로 B2C(기업과 소비자간 비즈니스)에서 활로를 찾는 전략이 주효했다.”
그는 지난해 가정용 시장 매출은 전세계적으로 고르게 늘어나면서 전년보다 38% 증가한 139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판매한 가정용 인바디 제품은 모두 7만대를 돌파했다. 그는 본격적으로 열리고 있는 가정용 시장에서 매년 두배 이상씩 매출을 늘려 나갈수 있을 것으로 확신했다.
인바디(041830)는 지난해 매출 1071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해외 매출은 전년비 18% 줄어든 744억원으로 부진했다. 해외 매출이 줄어든 것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미국이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으면서 매출이 전년비 20% 감소한 250억원에 머물러서다. 반면 유럽에서의 매출은 122억원으로 전년비 오히려 6% 성장했다.
“지난해에는 코로나19로 매출이 다소 정체상태를 보였지만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메디컬 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됐다. 올해부터 온라인 마케팅을 집중 강화해 B2C 시장을 본격 잠식해 나간다는 구상이다.”
차대표는 코로나19는 기존 전체 매출의 90%가량을 차지하는 B2B 시장에 집중하는 전략에서 B2C 시장으로 전환하는 촉매제가 됐다고 평가했다. 그간 인바디는 대당 300만원 가량하는 프리미엄 인바디 제품을 앞세워 진료센터, 피트니스 센터 등 B2B시장에 주력해 왔다. 그러다보니 인바디는 B2B시장에서는 절대적 강자로 군림해왔지만 B2C 시장에서는 점유율이 불과 1% 안팎에 그쳤다.
그는 “올해 매출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유행병이 어떻게 전개되느냐에 달려있다”면서도 “큰 이변이 없는 한 올해는 전년보다 20% 가량 성장한 1300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릴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해외 주요 사용처에 처음부터 인바디라는 한국산 수입 제품을 설득하는 것은 무리라고 판단, 인바디의 성능을 학계에 알리는데 주력했다. 학자들로부터 객관적으로 인정을 받아야 고가 장비의 도입을 꺼려하는 병원 관계자들을 설득할 수 있다고 보았다. 체성분 분석과 관련된 각종 학회 세미나 및 행사에 적극 참여하여 제품을 알렸다. ”
차대표는 체성분 분석기의 품질을 평가하는 오피니언 리더인 학자들을 초기부터 집중공략하는 마케팅 전략이 오늘날 인바디가 세계1등으로 도약하는 주춧돌이 됐다고 평가했다.
 | 미국 대학교 교재에 실린 인바디 제품 사진. 출처=KB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