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지완 기자] 화이자가 차세대 비만 치료제 개발사 멧세라를 인수하며 비만·대사질환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
|
화이자는 22일(현지시간) 미국 나스닥 상장사 멧세라(Metsera)를 주당 47.50달러(6만6082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거래 규모는 약 49억달러(6조7000억원)이며, 특정 임상 및 허가 단계 달성에 따라 최대 주당 22.50달러(3만1302원)의 추가 지급 조건(CVR)이 포함됐다. 거래는 규제기관 및 주주 승인을 거쳐 올해 4분기 마무리될 전망이다
멧세라는 비만 및 심혈관·대사질환 분야의 신약 후보물질을 보유한 임상 단계 바이오기업으로, GLP-1 계열과 아밀린 유사체를 포함한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개발 중이다.
주요 파이프라인에는 ▲주 1회 및 월 1회 투여 가능한 GLP-1 수용체 작용제 ‘MET-097i’(2상 진행 중) ▲월 1회 아밀린 유사체 ‘MET-233i’(1상 진행 중) ▲경구용 GLP-1 후보물질 2종 등이 있다. 특히 MET-233i의 초기 임상 결과는 최근 유럽당뇨병학회(EASD)에서 발표돼 차세대 최고 수준의 안전성과 효능 가능성을 인정받았다
알버트 불라 화이자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비만은 200개 이상의 질환과 연관된 거대한 시장”이라며 “멧세라 인수를 통해 화이자의 심혈관·대사질환 경험과 글로벌 생산·상업 역량을 결합해 미충족 수요를 해소하고, 월 1회 투여가 가능한 차별화된 치료제를 환자들에게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휘트 버나드 멧세라 CEO는 “창립 이후 비만 치료제 혁신에 매진해왔으며, 이번 인수가 수억 명 환자의 삶을 바꿀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며 “화이자의 글로벌 임상·규제·상업 역량과 결합해 파이프라인을 한 단계 도약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거래에서 화이자는 시티그룹을 재무자문사로, 왁텔 립튼 로젠앤캣츠를 법률자문사로 선정했다. 멧세라는 골드만삭스, 구겐하임, 뱅크오브아메리카, 앨런앤컴퍼니를 재무자문사로, 폴 와이스 리프킨드 와튼&개리슨을 법률자문사로 각각 기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