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진수 기자] 오스코텍은 내달 5일 개최되는 임시주주총회와 관련해 소액주주연대의 주장에 대한 사실관계 설명과 회사 입장을 26일 밝혔다.
 | | 26일 오스코텍 주주소통 간담회에서 신동준 CFO(전무)가 내달 예정된 임시주총과 관련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김진수 기자) |
|
이번 임시주총에는 △정관 일부 변경(발행예정주식 총수 확대) △김규식 사외이사 선임 △신동준 사내이사 선임 △감사 보수한도 승인 등 네 가지 안건이 상정돼 있다. 오스코텍은 이번 임시 주총 개최를 두고 신뢰 회복과 갈등 종식의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신동준 CFO(전무)는 “그동안 주주와 소통 부재, 제노스코 상장 추진 관련 불신, IR 미흡 등으로 누적된 불만을 해소하지 못해 심각한 신뢰 위기에 직면했다. 주주들의 불신은 올해 주총에서 극단적으로 표출됐다”며 “이번 임시주총 안건들은 김정근 전 대표이사의 개인적 복귀나 영향력과 무관하며 소액주주들의 요구 사항을 이행하는 차원에서 기획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가장 먼저, 정관 변경안 관련 신 CFO는 “현재 4000만주인 발행예정주식 총수를 5000만주로 늘리는 것에 대해서는 향후 제노스코 잔여지분(약 41%)을 인수하기 위한 자금 마련 계획과 연결돼 있다”고 밝혔다.
오스코텍은 소액주주들의 요구에 따라 제노스코 ‘100% 자회사 편입’을 결정했고, 이를 추진하기 위한 재원 마련 방안으로 이번 정관 변경안을 부의하게 됐다는 것이다. 실제로 오스코텍은 이번 수권주식수 확대는 향후 1~2년 내 계획된 제노스코 지분 인수 목적에 한정해 사용되며, 주주가치 희석을 초래하는 주주배정 유상증자 등에 활용하지 않을 것임을 명확히 했다.
오스코텍은 주주배정 증자 대신 제3자배정 방식을 선택한 배경에 대해 주주들의 손실을 최소화 하기 위함임을 강조했다.
지난 2022년 오스코텍은 연구개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약 1200억원 규모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실시했지만 당시 시장은 매우 부정적으로 반응했다. 단기적으로 주가가 하락하는 등 주주들에게 손해가 있었기 때문에 이번에는 제3자배정 방식을 선택했다는 것이다.
그는 “제노스코의 100% 자회사 편입을 이뤄내기 위해 전략적 투자자나 재무적 투자자 등 ‘건실한 외부 투자 유치를 통한 자금 조달’은 주주연대와의 대화 과정에서도 긍정적이었던 방안이었기 때문에 추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오스코텍은 제노스코를 100% 자회사화 하려는 이유에 대해 ‘주주가치 극대화와 지배구조 선진화’ 차원이라고 밝혔다.
현재 오스코텍이 보유한 제노스코 지분은 59.1%로, 회계상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오스코텍 실정 반영 측면에서는 구조적 비효율이 있다는 것이다. 제노스코의 손익이 전액 오스코텍에 귀속되면 주당순이익(EPS) 향상 효과가 기대되며, 파이프라인 가치도 온전히 오스코텍의 기업가치로 평가받을 수 있다.
신 CFO는 “레이저티닙을 비롯해 향후 개발될 신약들의 기술료나 로열티 수익을 더 이상 제노스코 외부 주주와 공유하지 않게 되는 것만으로도 주주이익에 부합한다”고 밝혔다.
지배구조 개선 효과도 언급됐다. 올해 초 제노스코의 코스닥 상장 추진은 모회사와 자회사 ‘중복상장’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만큼 모회사 단일 상장 체제로 지배구조를 단순화하는 해결책이 된다는 것이다.
그는 “완전자회사가 되면 오스코텍과 제노스코 간 이해상충 소지가 사라져 의사결정이 일원화되고, 임상개발 전략이나 글로벌 제휴 협상도 일관성 있게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며 “국내 바이오 업계에도 모회사와 자회사 간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해 100% 자회사 체제를 선택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점도 눈여겨 볼만하다”고 말했다.
끝으로 신 CFO는 “이번 임시주총을 단순 안건 승인 절차가 아닌 소액주주와 함께 성장하는 신뢰 기반의 출발점으로 보고 있다”며 “앞으로는 모든 주주와 함께 기업가치를 공유하는 투명한 기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