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송영두 기자] 바이오 의약품 시장 확대로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시장도 호황세를 맞이하고 있다. 한국도 예외가 아닌데,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CDMO 기업으로 성장했다. 롯데지주(004990)와 CJ제일제당(097950) 등 복수의 대기업도 CDMO 사업에 의욕적으로 진출했지만, 수주 계약 체결 소식이 들리지 않고 있다. CDMO 시장은 대기업 브랜드와 자본만으로는 성공할 수 없다는 게 업계 분석인데, 트랙레코드 확보에 사활을 걸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20일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는 유럽 소재 제약사와 총 6억6839만 달러(약 9304억원) 규모 위탁생산(CMO)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창립 최초 연간 누적 수주 금액이 5조원을 돌파하게 됐다. 회사는 올해 11건의 수주계약을 체결했고, 11개월만에 전년도 수주 금액 1.5배 수준을 달성하게 됐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급성장 배경은 글로벌 CDMO 시장 확대와 회사의 차별화된 경쟁력에 따른 트랙레코드를 다수 확보했기 때문이다. 글로벌 CDMO 시장은 매년 25% 성장해 2030년 최대 160억 달러(약 18조9000억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4공장을 보유하고 있고, 5공장도 건설 중이다. 내년 4월 완공을 목표로 건설중인 5공장은 단일공장 세계 최대 규모인 18만ℓ로, 완공시 총 생산규모는 78만4000ℓ로 세계 최대 수준이다. 여기에 99% 배치(Batch) 성공률로, 바이오의약품 제조 및 관리 전 과정에서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 글로벌 톱 20위권 제약 바이오 기업 대부분이 삼성바이오로직스와 CMO 계약을 체결한 것도 이를 뒷받침한다.
| 롯데바이오로직스가 건설중인 송도 1~3공장.(사진=롯데바이오로직스) |
|
‘5조원+α 투자’ 롯데, 신규 수주 아직...CJ바사도 아직 예열 중반면 바이오 CDMO 사업을 위해 2022년 설립된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대규모 자금 투자 계획을 발표하는 등 의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신규 수주에서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인다. 롯데는 설립 첫해 BMS 시러큐스 공장을 약 2080억원에 인수했고, 여기에 생산 역량을 확충하기 위해 약 900억원을 추가 투자했다. 특히 인천 송도에 대규모 생산시설(1~3공장, 약 36만ℓ) 건설을 위해 2030년까지 총 4조6000억원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대규모 생산시설에 필요한 인력 충원까지 고려하면 CDMO 사업을 위해 약 5조원이 넘는 자금이 투여될 것으로 예상된다.
CDMO 사업 진출 3년차인 롯데바이오로직스는 현재까지 미국 시러큐스 공장에서만 매출이 발생하고 있다. 설립 첫해인 2022년 0원이던 매출은 시러큐스 공장을 인수해 본격 가동한 2023년 매출이 약 2286억원으로 급증했다. 해당 매출은 시러큐스에서 생산하던 2800억원 규모 의약품 위탁생산을 3년간 그대로 유지하는 계약에 따른 것이다. 다만 올해 3분기까지 누적 매출이 약 2004억원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2800억원 계약 물량은 이미 마무리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3분기 실적만 놓고 보면 467억원의 매출 규모는 전분기 654억원 대비 약 29%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적자로 전환됐다.
이에 대해 롯데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BMS와 체결한 2800억원 규모 CMO 계약은 끝이 났고, 이후 추가 연장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영업적자는 신규 생산시설 건설에 따른 것으로 당분간은 영업적자가 지속될 수밖에 없다”며 “당장 어떤 성과가 있을 것이라고는 말할 수 없지만, 신규 수주를 위해 다양한 기업들과 만나고 있다”고 말했다.
CJ제일제당도 2021년 네덜란드 CDMO 바타비아 바이오사이언스를 약 2677억원에 인수했다. 하지만 3년이 지난 현재 뚜렷한 성과는 들려오지 않고 있다. 코오롱바이오텍도 2020년 코오롱생명과학으로부터 물적분할 후 약 500억원 출자를 통해 설립됐는데, 매년 코오롱생명과학으로부터 자금을 수혈받고 있다. 2021년부터 올해 9월까지 수혈된 자금은 총 12회에 걸쳐 약 354억원에 달한다. 반면 매출은 2020년 183만원에서 2021년 11억원으로 증가했지만, 2022년 다시 9억원으로 감소했다. 지난해에는 약 6억원에 그쳤다.
삼바 설립 2년만에 대규모 수주, 보수적인 CDMO 시장...“트랙레코드 없인 성공 장담 못 해”대기업의 CDMO 시장 진입은 바이오 벤처와 비교해 훨씬 경쟁력이 있다는 분석이다. 브랜드에 대한 자신감과 바이오 벤처는 불가능한 대규모 자금 투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바이오 CDMO 시장 성공은 복합적인 요소를 골고루 갖춰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규모 생산시설이 필수적이고, 대규모 투자도 적재적소에 이뤄져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시장에 신뢰를 줄 수 있는 트랙레코드가 필요하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대규모 생산시설 건설과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 롯데바이오로직스와 CJ제일제당 등의 신규 수주는 절실하다. 신규 수주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생산시설 건설에도 자금 유입이 어려워 문제가 생길 수 있고, 생산시설 완공 후에도 매출 없이 인력과 시설 유지 등에 따른 비용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설립 후 2년 만에 글로벌 제약사와 수주 계약을 체결한 것을 고려하면, 분발이 필요하다는 평가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대기업들의 CDMO 사업 진출은 환영할 만하다. 하지만 단순히 생산시설 건설과 대규모 투자로만은 쉽게 안착할 수 없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외 다른 대기업의 CDMO 사업 성과를 보면 트랙레코드와 경쟁력을 증명하지 못한다면 성공하기 쉽지 않다”며 “바이오산업에서 중요시하는 생산 경험, 즉 트랙레코드가 없어서 글로벌 제약사로부터 신뢰를 얻어야 하는데 이게 쉽지 않다”고 말했다.
실제로 삼성바이오로직스도 설립 후 트랙레코드 확보를 위해 경영진이 무작정 글로벌 제약사 본사를 찾아가 기약없이 기다리기를 반복한 것은 유명한 일화다. 당시 삼바 경영진들은 담당자들을 초청해 자사 생산시설의 특장점을 설명하고 설득하는 과정을 거쳤다. 설립 2년 만에 BMS와 첫 수주 계약을 체결한 것이 지금의 삼성바이오로직스 성공의 밑거름이 됐다.
또 다른 관계자는 “바이오의약품 산업은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유럽 의약품청(EMA)과 같은 각국 규제 기관으로부터 승인을 받아야 하는 규제 산업”이라며 “사람 생명과 밀접성이 높은 산업인 만큼 다른 산업 분야에 비해 보수적인 성향이 강하다. 어렵더라도 트랙레코드를 확보하는 것이 CDMO 사업의 성패를 좌우할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