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유진희 기자]한 주(4월7일~4월13일)의 글로벌 제약·바이오업계 이슈를 모았다. 이번 주에는 중국 바이오테크의 추격에 대한 우려와 달리 거꾸로 가는 미국의 행보가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 (사진=게티이미지) |
|
미국이 중국의 바이오테크에 대한 경고음을 내면서도 관련 자국 시장은 위축시키는 정책으로 우려를 낳고 있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이 20년간 생명공학(바이오테크) 분야를 전략적 우선순위로 두면서 이 분야에서 빠르게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 연방상원 신흥바이오테크국가안보위원회(NSCEB)의 내놓은 보고서에 기반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이 향후 3년간 신속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않는다면 바이오테크 분야에서 중국에 추월당해 회복하기 어려운 타격을 입을 수 있다. 보고서는 또 미국이 향후 5년간 최소 150억 달러(약 22조원)를 바이오테크에 투자해야 하며, 국가안보에 위협이 될 만한 이 분야 중국 기업들과의 협력도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국의 바이오테크를 견제하려면 동맹 등 전통적 파트너들과도 긴밀히 협조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NSCEB는 2022년 미 국방수권법에 따라 의회가 설치한 초당파 입법 위원회로, 생명공학 분야가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검토하고 있다. 중국은 약품 원료와 복제약품 등을 미국에 대규모로 수출하는 국가로, 최근에는 정부의 전폭적 지원에 힘입어 바이오테크 부문의 허브 국가로 급부상했다. 아스트라제네카,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존슨앤드존슨 등 메이저 제약사들도 중국이 개발하고 임상시험까지 마친 약품들을 수입하거나 판권을 사들이는 등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경고음과는 달리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오히려 관련 업계에 혼란을 주는 움직임으로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글로벌 제약·바이오업계에 큰 영향력을 갖고 있는 미국 식품의약국(FDA) 등에 예고됐던 감원이 현실화되는 게 대표적인 예다. 수장부터 사실상 해고됐다. WSJ는 피터 마크스 FDA 생물의약품평가연구센터(CBER) 소장은 미국 보건복지부 당국자로부터 사임하지 않으면 해고될 것이라는 통보를 받고 사직서를 지난달 28일(현지시간) 제출했다고 보도했다.
마크스 소장은 2016년부터 CBER의 소장으로 백신 및 바이오 의약품 관리 등을 담당해왔다. 그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는 빠른 백신 개발을 위해 정부 규제를 간소화하고 정부 지원 자금을 모으는 일을 하기도 했다.
보도에 따르면 마크스 소장은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장관 취임 이후 백신 문제를 두고 그와 갈등을 빚어왔으나, FDA에서 계속 일하기를 원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행정부에서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임명된 케네디 장관은 과거 “백신이 자폐증을 일으킨다”는 등 검증되지 않은 백신 관련 음모론 주장을 펼쳐왔다.
마크스 소장은 사라 브레너 FDA 국장 대행에게 제출한 사직서에서 케네디 장관이 허위정보와 거짓말에 복종하기를 원한다며 비판했다. 그는 또 사직서에 “(케네디) 장관이 진실과 투명성을 바라지 않으며, 자신의 잘못된 정보와 거짓말에 대한 복종적인 확인만을 바란다는 사실이 분명해졌다”고 작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가운데 FDA를 포함한 보건복지부 산하 기관 직원 1만명도 일자리를 잃게 됐다. 인원 감축은 △의약품과 의료기기, 식품 안전 기준을 담당하는 FDA △전염병 등 공중 보건 상황을 관리하는 질병통제예방센터(CDC) △공중보건 연구기관인 국립보건원(NIH) △고령·저소득층을 위한 의료보험 담당 등에서 이뤄질 예정이다.
복지부 소속 직원은 현재 8만 2000명이며, 해고되는 1만명 외에 추가로 1만명이 정부효율부(DOGE) 주도하는 이른바 자발적 퇴직 프로그램 등에 따라 부서를 떠난다. 복지부는 이를 통해 연간 18억 달러(약 2조 6000억원)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