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기사는 인쇄용 화면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변곡점 맞은 韓이종장기 사업…사업중단·상폐로 단 한 곳만 생존
  • 등록 2025-06-13 오전 9:06:37
  • 수정 2025-06-20 오후 3:07:09
이 기사는 2025년6월13일 9시6분에 팜이데일리 프리미엄 콘텐츠로 선공개 되었습니다. 구독하기
팜이데일리 프리미엄 기사를 무단 전재·유포하는 행위는 불법이며 형사 처벌 대상입니다.
이에 대해 팜이데일리는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 강력히 대응합니다.
[이데일리 나은경 기자] 국내 이종장기이식 연구가 고비를 맞았다. 주요 국책과제는 씨가 마른데다 관련 사업을 영위하던 기업들도 존립이 위태로운 상황이다. 1999년 황우석 박사의 ‘복제 소 영롱이’ 이후 이종장기이식에 대한 관심이 쏟아졌지만 현재 관련 사업이 가능한 기업은 국내에 단 한 곳만 남았다. 이종장기이식 연구의 명맥을 유지하려면 국가적 관심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투자금 회수 사이클 길고 진입장벽 높아

11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김성주 전 삼성서울병원 장기이식센터장을 중심으로 돼지췌도 인체이식 1상 임상시험계획(IND)까지 승인받았던 제넨바이오(072520)는 결국 환자 모집조차 하지 못한 채 오는 17일까지 상장폐지를 위한 정리매매를 진행한다. 상장폐지일은 오는 18일이다.

연구를 총괄하던 김성주 전 대표이사를 비롯해 연구진 대부분이 퇴사한 데다 자금조달 외 현금유입이 불가능한 현 상황을 감안하면 상장폐지 후 회사 존속은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그래픽=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이종장기이식 관련 국내 최장 연구 업력을 보유한 엠젠솔루션(032790)도 지난해 9월 말 이사회를 통해 이종장기이식 관련 사업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같은 시기 회사에서 이종장기 관련 연구개발을 총괄하던 강정택 생명공학연구소 연구소장도 회사를 떠났다.

국내에서만 매년 200~400여개의 바이오텍이 새로 문을 열지만 이중 이종장기이식 사업을 하는 회사가 있다는 소식은 들리지 않는다. 업계에서는 이종이식이 바이오텍의 창업 아이템으로 선호되지 않는 이유로 신약개발사보다 긴 회수 사이클을 꼽는다. 신약개발사는 신약 개발이 성공하기 전이라도 중간 단계에서 기술수출을 통해 연구·개발(R&D) 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데 원료동물(형질전환돼지)이 필요한 이종장기 사업은 인수·합병(M&A) 외 뾰족한 기술수출 방법도 없어서다.

이종장기이식 사업으로 현금유입이 가능한 유일한 방법은 국책과제인데 지난 2023년 옵티팜이 따낸 이종장기연구개발 과제 이후 신규 국책과제는 전무한 실정이다.

엠젠솔루션 관계자는 “최근 이종장기 쪽으로 새로운 국책과제가 없다보니 회사가 단독으로 R&D를 진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며 “이종장기 연구를 위한 형질전환돼지 사육에 활용했던 경기 이천연구소는 임대기간이 끝나 자연스럽게 정리됐고, 대신 충북 오송의 조직공학연구소에서 무릎 반월상 연골 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이식재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국내에서 이종장기이식 사업을 지속하는 기업은 옵티팜(153710) 한 곳만 남게 됐다. 이종장기이식 연구를 지속하던 기업들이 잇따라 사업을 종료하면서 미래 장기이식 부족문제의 해법이 될 수 있는 이종장기이식 사업에서 한국이 뒤쳐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김현일 옵티팜 대표는 “이종장기이식 사업은 사람에게 이식할 수 있는 수준의 형질전환돼지를 만들고 병원균제어시설(DPF) 등 기반을 조성하는 데만 10년 이상이 걸린다”며 “후발주자가 빠르게 나타나기 어려운 사업이므로 한번 명맥이 끊기면 다시 글로벌 경쟁이 가능한 수준까지 올라오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고 강조했다.

옵티팜 “안정적 연구 위해 자생력 확보 노력”

경쟁사들이 부침을 겪는 동안 옵티팜은 이종장기이식 임상시험에 가까워지고 있다. 돼지 신장 이식 영장류 221일, 돼지 심장 이식 영장류 217일이라는 국내 최고 생존 기록도 경신해 나가고 있다.

2000년 설립된 옵티팜이 25년간 꾸준히 이종장기 사업을 해올 수 있었던 이유로는 든든한 모회사 이지홀딩스(035810)의 지원과 연간 200억원에 가까운 매출을 내는 동물의약품 사업이 꼽힌다. 관련 업계 관계자는 “회수 사이클이 긴 이종장기 사업을 계속 영위하려면 오너 및 경영진의 사업지속 의지와 자본조달 없이 자체적으로 R&D에 투자할 수 있는 매출사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제넨바이오도 비임상CRO 사업을 통해 자생력을 키우고자 600억원을 들여 경기 평택에 연면적 2만1060.56㎡(6370.82평)규모의 제넨코어센터를 지었다. 하지만 제넨코어센터 완공 직후 바이오 투자 혹한기가 찾아오면서 신사업에 집행했던 막대한 투자금은 오히려 부메랑이 돼 돌아왔다.

경기 평택에 위치한 제넨바이오의 제넨코어센터. 이종장기이식 R&D 및 관련제품 개발을 위한 시설과 비임상시험센터로 구성됐다. (사진=제넨바이오)


엠젠솔루션의 경우 지난해에만 400억원대 매출을 냈지만 장기 투자가 필요한 이종장기 사업 대신 안정적인 매출을 가져다주는 광대역통신망(BcN) 및 인공지능(AI) 사업에 집중하기로 했다. 신사업으로 정한 이종조직 유래 반월성 연골이식재 개발 사업은 의료기기로 분류돼 개발에 성공할 경우 3~4년 내 상용화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종이식 사업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R&D 비용 회수시점이 빠르다.

김현일 옵티팜 대표는 “이종장기이식 사업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기 때문에 끝까지 이종장기이식 사업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경영·투자를 최우선 방침으로 두고 노력하고 있다”며 “내년 젖소유방염 백신과 구제역 백신이 출시되면 외부 자금에 의지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이종장기 사업을 영위할 수 있는, 내생적 성장이 가능한 구조가 구축될 것”이라고 말했다.

팜투자지수

팜투자지수는 유료 구독자에게만 제공됩니다.

구독하기

마감

국내 비만치료제 개발 기업 중 가장 기대되는 곳은?

1. 한미약품

255명( 29% )

2. 디앤디파마텍

115명( 13% )

3. 동아에스티

50명( 5% )

4. 디엑스앤브이엑스

16명( 1% )

5. 펩트론

324명( 37% )

6. 기타 (댓글로)

110명( 12% )

저작권자 © 팜이데일리 - 기사 무단전재, 재배포시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