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기사는 인쇄용 화면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메디바이오랩, 국내 최초 '잇몸 관련 기능성 원료' 인정취득
  • 등록 2025-04-10 오후 3:40:42
  • 수정 2025-04-10 오후 3:40:42
[이데일리 임정요 기자]

프로락(사진=메디바이오랩)
잇몸 영양제 회사 메디바이오랩이 국내 최초로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자체연구한 복합추출물의 잇몸 관련 기능성 원료 인정을 취득했다고 10일 밝혔다.

메디바이오랩은 2011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바이오센터 입주기업인 애니켐을 인수해 현대인의 영양 불균형 해소와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연구를 통해 ‘뼈·관절 건강’, ‘혈행 건강’, ‘장 건강’, ‘남성 갱년기·전립선 건강’, ‘면역력 건강’, ‘스트레스·피로개선’ 등 21여개의 건강기능식품을 개발·제조·유통하고 있다.

특히 프로폴리스와 망고스틴과육추출물을 이용한 잇몸건강에 효능이 좋은 ‘프로락 골드 정’, ‘프로락 골드 플러스 정’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다만 이 제품은 항산화 기능성에 국한되어 인정된 점이 잇몸영양제로서의 제품의 홍보와 판매에 많은 제약을 끼쳤다. 때문에 회사는 2018년부터 잇몸건강과 관련한 기능성 원료의 개발에 주력해 왔고 마침내 식약처 인정을 취득하는데 성공했다.

메디바이오랩은 프로폴리스추출물과 망고스틴열매껍질추출물의 복합물 ‘PMEC’를 이용해 시험관 시험과 동물시험을 거쳐, 2019년 8월부터 연세대 치대, 경희대 치대 및 보훈병원 치과 등 3개 병원에서 1차 인체적용시험을 실시했다. 나아가 2022년 1월부터 아주대 치대 및 서울 가톨릭 성모병원에서 2차 인체적용시험을 실시한 후 기능성 인정신청을 통해 지난달 25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잇몸상태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의 기능성으로 건강기능식품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로 인정을 받았다.

메디바이오랩에 따르면 PMEC는 시험관 시험에서 항염증 바이오마커(IL-6, IL-8, 및 PGE2)가 유의적으로 감소하고, 조골세포분화 유전자발현 바이오마커(RUNX2, COL1A1, Osteocalcin) 및 골형성 바이오마커(ALP, Mineralization)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등 염증 억제의 효능과 골 형성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시험에서는 항염증 바이오마커(IL-8, PGE2, COX-1, COX-2, iNOS)와 잇몸 결합조직 파괴관여 바이오마커(MMP-8) 및 치조골 소실이 유의적으로 감소해, 염증 억제 효능과 잇몸조직파괴 억제 효능 및 치조골 소실억제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체적용시험에서는 항염증 바이오마커(IL-1β, PEG2)와 잇몸 결합조직 파괴관여 바이오마커(MMP-8, MMP-9)가 유의적으로 감소했다.

즉, PMEC는 기능성 원료로서 △잇몸의 염증 억제 효능 △잇몸조직 파괴억제 효능 △치조골의 소실억제와 골 형성 효능이 있음을 보였다.

메디바이오랩은 잇몸질환과 관련해 국내, 미국, 일본 등에 ‘망고스틴추출물 또는 알파, 감마 망고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망고스틴추출물 및 프로폴리스추출물을 포함하는 골형성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망고스틴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관 세척용 조성물’, ‘망고스틴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관충전용 조성물’ 등 6개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

PMEC와 관련한 논문은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2019),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2020. SCIE), 대한치과재료학회지(2021. KCI), Nutrients (2024. SCIE) 등 SCIE급 학술지에 게재한 바 있다.

메디바이오랩 관계자는 이상과 같은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잇몸질환과 관련한 의약품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치과 치료 시 소독제로 사용하는 근관세척제의 개발과 치아 발치 시에 소독과 염증 억제용으로 사용하는 근관충진제의 개발도 추진 중에 있다. 뿐만 아니라 기반 연구를 바탕으로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 원료, 닭·오리 및 양식어류의 사료 첨가제, 개·고양이 피부 및 잇몸 치료제 개발 등을 위해 포트폴리오 확장을 계획하고 있다.

나아가 잇몸관련 제품외에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건강관련 식품의 연구개발업무를 강화해 기존제품의 개선과 신제품의 개발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마감

국내 비만치료제 개발 기업 중 가장 기대되는 곳은?

1. 한미약품

255명( 29% )

2. 디앤디파마텍

115명( 13% )

3. 동아에스티

50명( 5% )

4. 디엑스앤브이엑스

16명( 1% )

5. 펩트론

324명( 37% )

6. 기타 (댓글로)

110명( 12% )

저작권자 © 팜이데일리 - 기사 무단전재, 재배포시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