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기사는 인쇄용 화면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바이오 투자의 정석]'간병서비스' 산업이 유망한 까닭
  • 이데일리-LSK인베스트먼트 공동 기획 시리즈
  • 김명기 LSK인베스트먼트 창업자 및 대표
  • LSK 인베스트먼트는 국내 대표 바이오전문 투자회사
  • 등록 2021-07-18 오전 7:49:07
  • 수정 2021-07-18 오전 7:49:07
김명기 LSK인베스트먼트 대표
[김명기 LSK인베스트먼트 대표] 의료서비스 산업은 매우 다양한 사업 모델이 존재하는데 병원과 의사가 개입하지 않고 소비자인 환자에게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간병서비스 시장도 의료서비스 시장의 일종으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1년 기준 국내 65세 이상 노인 인구수는 약 850만 명에 달하며 노인 인구 중 약 40% 이상이 만성질환 3개 이상을 앓고 있고 이중 중증 환자는 간병인이 있어야 하는 치료, 재활, 요양이 필요하다. 대한민국은 2026년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 이상인 초고령사회로 진입이 예상되며, 전체 의료비 중 노인 인구의 의료비 비중은 꾸준히 증가하여 2019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의 진료비는 전체 진료비 중 40.5%를 차지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를 겪고 있는 일본의 경우 노인 의료비의 증가와 함께 재활과 요양을 도와주는 간병인의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일본 후생노동성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6년 간병인 종사자는 190만명에 이르고 2025년 245만명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이때는 55만명의 간병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고령화에 따라 간병인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낮은 처우와 열악한 근무 환경으로 인해 내국인의 간병인 지원 인력이 부족하여 해외 간병인력의 유치를 통해 이를 해결하려 하고 있다. 일본 못지않은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는 우리나라의 경우도 간병비의 지출이 늘어나고 있으며, 증가하는 수요에 맞추어 국내 요양병원의 병상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병상 이용률과 간병서비스 이용률을 활용하여 추산한 2021년 국내 간병시장의 규모는 약 7.6조원 수준으로 연평균 8.1%의 성장율을 통해 2030년 약 11.6조원의 대규모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현재는 간병 시장에서 고객(비용을 지급하는 자식)과 소비자(간병을 받는 부모)가 분리되어 있지만 급격한 노령화 단계에 접어드는 미래에는 고객과 소비자가 일치하게 되어 소비자의 구매력은 더 커지고 요구조건은 더 까다로워질 것으로 예상한다. 앞에서 언급했듯 간병산업은 의료서비스 시장에서 필수적인 생활밀착형 서비스임에도 일반 소비자들은 접근할 기회가 적은 폐쇄적 시장구조와 주요 고객층이 고령인구인 점 때문에 시장규모에 비해 대규모 사업화가 더딘 상황이다.

대부분의 간병인은 직업소개소 수준의 중개업소를 통해 소개되고 있어 고객과 간병인 간 정보의 비대칭성 문제가 심각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ICT기술을 활용한 사업모델이 필요한 실정이다. 간병인의 입장에서도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제공하는 서비스의 난이도가 결정됨에 따라 적절한 환자 정보를 바탕으로 고객과 간병인을 연결시켜주는 사업 모델을 확보한다면 의미있는 시장 규모를 달성하는 기업이 나올 수 있는 시장이라 판단한다.

우리나라도 일본과 마찬가지로 중국 동포를 포함하여 외국인 간병인의 공급이 늘어나는 추세이므로 간병인의 처우 개선과 금융거래의 불편함과 같은 문제를 해결해 준다면 중소 사업자로 분산되어 있는 시장을 큰 시장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업의 탄생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 현재 국내에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기업들이 경쟁하고 있으며 앞에서 언급한 ICT기술을 활용한 고객과 간병인의 접점을 만드는 사업모델과 이를 통해 발생하는 의료 데이터의 활용이라는 목표를 어떻게 달성할 지에 대한 사업 모델 비교가 필요하다고 본다.

진행

가장 먼저 블록버스터 등극할 K신약은?

저작권자 © 팜이데일리 - 기사 무단전재, 재배포시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