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송영두 기자] 코로나19 같은 감염병의 가장 효과적인 방어 전략은 예방이다. 전 세계 정부는 백신 접종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글로벌 제약사들은 백신 개발에 힘쓰고 있다. 특히 이번 코로나 사태에서는 1년이라는 짧은 시간에 mRNA 백신이 개발돼 신약 역사를 새롭게 써나가고 있다. 하지만 짧은 기간 내 개발로 인해 여러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새로운 팬데믹,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리포트를 통해 그 이유와 필요한 대응책에 대해 알아본다.
리포트에 따르면 기존 백신들은 약 10~15년이라는 장기간에 걸쳐 개발이 진행됐다. 안전성과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전임상과 임상 1~3상 임상시험을 거쳤다. 반면 코로나19 백신은 백신 개발 역사상 가장 신속하게 이뤄진 것으로 평가받는다. 역사상 그 유래를 찾을 수 없을 정도인 약 1년이라는 기간 동안 임상시험부터 상용화까지 이뤄졌다.
따라서 단기적으로나 장기적으로 백신에 대한 안전성 평가가 충분하지 못했다는 우려와 비판을 받고 있다. 특히 일부 백신은 부작용에 대한 우려로 인해 백신 접종을 거부하는 사람들이 발생하기도 했다. 또한 국내에서는 백신 접종 후 이상 반응을 느낀 사람들이 인과관계를 인정받지 못해 정부와 갈등이 발생하는 등 사회적인 문제로도 대두되고 있다.
더욱 문제인 것은 코로나19 같은 신종 감염병이 또다시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빅데이터 기반 능동적 약물 안정성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조언한다. 이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구축하면 단기간에 새롭게 개발되는 백신과 치료제 효과성과 이상 반응 등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건강 관련 영향 등에 대해 지속적인 추적관찰이 가능해진다.
| 모더나 ‘코로나19’ 백신.(사진=연합뉴스) |
|
미국과 유럽은 약물의 예상치 못한 부작용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 예방접종 기록과 의료이용 기록이 포함된 대규모 데이터베이스(DB)를 이미 활용하고 있다. 해당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면 안전성과 관련된 사소한 신호들도 포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리포트는 우리나라도 이런 시스템 구축이 현실적으로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코로나19 백신을 포함한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의 예방접종 DB와 국민건강보험공단 및 심사평가원의 청구자료를 연계하는 융합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데이터사이언스 방법론을 통해 잠재적인 위험 가능성이 있는 모든 신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특히 그 중 의심되는 신호를 파악하면 보다 정밀한 분석을 통해 인과성 여부를 체계적으로 규명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백신 안전성 능동 감시체계 수립이 가능해진다.
또한 코로나19 환자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 환자들의 건강에 어떠한 문제들이 발생하는지 등을 관찰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중장기적 합병증 및 후유증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 방안을 마련해 갈 수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회복 환자 등록 DB를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 DB 및 중앙암등록본부 DB, 통계청 DB 등과 연계하면 더욱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리포트는 정부 기관의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생활이나 건강, 환경 관련 데이터가 융합된 빅데이터를 구축한다면 설령 또 다른 팬데믹이 발생해도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감염병 감시체계 및 건강증진 관리 체계를 운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빅데이터가 구축돼도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양질의 데이터 사이언스 전문인력이 부족하다는 점은 문제로 지적했다.
리포트는 데이터마이닝 기법과 통계법은 물론, 약물역학과, 시뮬레이션 역학, 머신러닝 기법 등을 필요한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는 양질의 전문인력을 충분히 확보하고,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