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이데일리 프리미엄 기사를 무단 전재·유포하는 행위는 불법이며 형사 처벌 대상입니다.
이에 대해 팜이데일리는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 강력히 대응합니다.
[이데일리 김유림 기자]
에스씨엠생명과학(298060)이 상장 주역 이병건 전 대표가 퇴사하고, 창업주까지 별세하면서 신약개발 사령탑이 부재하는 상황에 처했다. 앵커투자자 한국투자파트너스(한투파)가 모든 지분을 처분하는 악재도 겹치면서 창사 이래 최대 위기를 맞았다. 회사 측은 “한투파의 지분 매각은 펀드 만기에 따른 것이며, 대표가 부재했다고 해서 신약개발에 차질이 발생할 일은 없다”고 일축했다.
| 3월 정기주총에서 에스씨엠생명과학 기타비상무이사 선임을 앞두고 있는 최대주주 송기령씨. (자료=금감원) |
|
1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0일 에스씨엠생명과학은 고 송순욱 대표이사가 별세한 이후 대표 자리가 아직 공석인 상태다. 신규선임시까지 오형남 전무이사가 대표이사의 직무를 대행한다. 최대주주 역시 고 송 대표(18.06%)외 1명에서 송기령(4.99%)씨 단독으로 변경됐다.
송기령씨는 고 송 대표의 배우자이며, 18.06% 지분에 대한 상속절차를 밟을 계획이다. 송기령씨는 오는 28일 제8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신규 선임되는 이사 중에서 유일하게 신약개발과 접점이 없는 인물이다. 서울대 음학대학에서 작곡을 전공했으며, 임기 3년의 기타비상무이사로 선임될 예정이다.
주주들이 가장 불안해하는 부분은 상속세 납부로 인해 지분매각 이슈가 발생할 가능성이다. 이날 주가 기준 고 송 대표의 지분가치는 312억원 규모다. 현재 상속세 규정상 대주주는 최고세율 50%에, 최대주주 주식에 대한 할증까지 더해 최고 65%의 실효세율을 적용받는다. 부의 대물림을 막겠다는 취지이지만, 중소 코스닥회사에게는 부담될 수밖에 없는 상속세율이다.
중소 코스닥기업에서는 과도한 상속세를 감당하지 못해 경영권을 매각하는 사례도 흔히 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국내 최대 피임기구 제조회사 유니더스(현 블루베리 NFT)는 2017년 오너 2세이자 최대주주 김성훈 전 대표는 보유중인 주식 300만주(지분 34.88%)에 경영권 프리미엄을 더해 바이오제네틱스투자조합 등에 200억원에 매각했다. 김 대표가 창업주이자 부친이 일군 회사를 포기해야 했던 이유는 상속세에 대한 부담이었다. 부친 김덕성 회장의 별세로 경영권 지분을 상속받았고, 상속세가 50억원 규모였다.
에스씨엠생명과학 관계자는 “다른 대기업들을 보면 담보대출을 통해서 상속세를 내고 있다. 지분을 매각해서 상속세를 납부할 일은 없다”면서 “경영하는 사람의 기본이다. 창업주의 지분을 팔지 않고 상속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진행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병건 전 대표의 사임과 함께 앵커투자자였던 한국투자파트너스의 지분 매각도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투자파트너스는 국내 최대 바이오투자 벤처캐피털이다. 회사의 성장성이 있다고 판단하면 펀드 수익자들의 동의를 기반으로 만기를 연장하며 장기투자를 이어간다. 하지만 상장 당시 12.49%에 달했던 지분은 점차 줄여나갔으며, 이 전 대표가 사임한 이후 5.25%를 모두 처분했다.
이 전 대표는 에스씨엠생명과학이 상장하기 직전인 2018년 한국투자파트너스에서 직접 영입한 인물이다. 녹십자, 종근당 등 국내 굴지의 제약사들을 이끌었으며, 에스씨엠생명과학의 신약개발부터 인수합병(M&A) 전략까지 진두지휘했다. 이 전 대표는 지난해 11월 임기 2년을 넘게 남기고 돌연 사임했다. 이후 지아이이노베이션 회장으로 선임됐다.
에스씨엠생명과학 관계자는 “한국투자파트너스의 지분 처분은 이병건 대표의 퇴사와 무관하다. 펀드가 만기되면서 이뤄진 것이며, 특별한 이슈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전에는 이병건 대표를 중심으로 중앙 거버넌스로 경영됐지만, 지난해 연말 퇴사하면서 본부장들 중심으로 분산을 이미 시킨 상태다”며 “신약개발은 문제없이 진행되고 있다. 2세대 줄기세포 연구개발(R&D)을 통해 임상 시험에 대한 결과를 기다리고 있는 중이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