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기사는 인쇄용 화면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류성의 제약국부론] 바이오에 국운을 걸어야 하는 까닭
  • 모방전략,압축성장 중국,한국 주력산업에 가장 큰 위협
  • 바이오, 중국의 모방전략, 압축성장 적용 어려운 특수산업
  • 특허 20년보장,10년 임상시험 중국 추월 리스크 막아
  • 자동차, 반도체 합한 2배 이상 시장규모도 매력적
  • 윤정부,바이오 승부걸어야 경제살리고 경제대통령 성공
  • 등록 2023-01-13 오전 8:35:57
  • 수정 2023-01-16 오전 7:24:49
[이데일리 류성 바이오플랫폼 센터장] 바이오를 제2 반도체로 육성하겠다는 윤석열 정부의 진정성이 의심받고 있다. 윤대통령이 주요 대선공약으로 내세웠던 ‘제약바이오혁신위원회 설립’ 건도 아직 아무런 진전이 없는 상황이다.

K바이오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려면 현재 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등이 쪼개 맡고있는 바이오 정책을 하나로 통합, 운영할 관제탑을 세워야 한다는 게 업계 숙원이다. 업계의 이 소망을 풀어줄 해법이 제약바이오혁신위원회 설립이었다. 하지만 업계의 절박함에도 이 공약은 이제 공수표로 전락할 처지다.

최근 급성장세로 세간의 주목을 한몸에 받고있는 K바이오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수출이 목숨줄인 한국에게는 최우선으로 국가 자원과 역량을 집중해야 할 산업이라는 결론이다.

한국의 산업화 과정을 요약하면 ‘모방전략’과 ‘압축성장’이다. 이 방법이 먹혀 들면서 한국은 단기간 선진경제 대열에 합류할수 있었다. 한국의 이런 경제 급성장 전략을 이제 중국이 고스란히 따라하면서 중국은 한국경제를 위협하는 최대 리스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실제 반도체, 자동차, 전기차, 스마트폰, 조선·선박, 배터리, 2차 전지 등 한국경제의 핵심 산업 모두 중국과 대척점에 서있다. 중국은 이들 산업 가운데 상당부분에서 이미 우리를 추월했거나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한국은 이들 산업에서 중국의 추격을 따돌리고 초격차를 벌이려고 애쓰지만, 우리가 일본을 돌파했듯이 뜻대로 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중국이라는 최악의 경쟁자를 제압하고 한국경제의 지속적 성장을 담보하기 위해 바이오에 주목을 해야하는 배경이다. 바이오는 산업의 독특한 특성으로 중국이 실천하고 있는 모방과 압축성장 전략이 실효를 거두기가 가장 난해한 분야다. 우선 신약은 성분을 아무리 분석해 모방을 하려고 해도 기본적으로 불가능하다. 여기에 신약 특허권리는 평균 20년을 보장받으면서 퍼스트 무버(First Mover)가 승자독식을 하는 게임이다. 보통 10여년이라는 긴 세월동안 임상시험 과정을 거쳐야 하는 것도 압축성장을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게 만드는 핵심 바이오 산업의 특징이다.

다행히 K바이오는 지난 20여년간 고난의 시기를 이겨내면서 숙성을 해왔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1990년대 말부터 바이오벤처 육성을 위해 정부예산을 쏟아부으면서 K바이오 생태계가 탄생했다. 최근 K바이오 기술수출과 신약개발이 봇물을 이루는 것도 강산이 두번 바뀔동안 K바이오가 끊임없이 시행착오를 거듭하면서 쌓아온 내공과 역량이 있기에 가능했다.

다른 어느 산업보다 규모가 월등히 큰 세계 바이오 시장은 수출강국 한국에게는 더없는 매력을 선사한다. 글로벌 제약·바이오 시장규모는 1644조원(한국제약바이오협회. 2021년 기준)으로 세계 자동차(500조원) 및 반도체 시장(400조원)을 합한 것보다 더 크다. K바이오가 거둔 지난해 전체 수출규모가 불과 13조원(세계시장 점유율 0.7%)에 그친 점을 감안하면 성장 잠재력도 무궁하다.

윤정부가 바이오에 미래를 건다면 중국 리스크를 최소화, 지속적 한국경제 성장을 이끌어낼수 있을 뿐 아니라 성공한 ‘경제 대통령’이라는 평가도 받을수 있는 최선의 선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진행

가장 먼저 블록버스터 등극할 K신약은?

저작권자 © 팜이데일리 - 기사 무단전재, 재배포시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