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기사는 인쇄용 화면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대규모 증설 예고한 옵투스제약, '밸류업' 가능할까
  • 등록 2024-06-19 오전 9:07:40
  • 수정 2024-06-19 오전 9:07:40
[이데일리 석지헌 기자] 삼천당제약(000250) 자회사 옵투스제약(131030)이 공장 증설을 통한 매출 증대를 예고한 가운데 회사 가치가 재평가될지 주목된다. 일각에서는 동종 기업 대비 저평가됐다고 보는 시선도 있어 그 이유에 관심이 모인다.
국내 일회용 안구건조중 치료제 점유율 현황.(출처= 옵투스제약 IR 자료)
18일 업계에 따르면 옵투스제약은 지난 2월 공시를 통해 860억원 규모 공장시설 투자 계획을 알렸다. 현재 매출의 약 99%를 차지하는 일회용 점안액 매출을 늘리고자 생산 능력을 지금보다 77% 높인다는 게 골자다.

최근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옵투스제약은 신규공장 건축공사와 설비자동화 등을 준비 중이다. 현재 회사의 연간 일회용 점안제 생산능력은 4억 7000만관인데, 증설을 통해 추가되는 생산능력은 3억 6000만관이다. 완공 시 총 생산 및 공급능력은 8억 3000만관으로 증대된다. 공장 증설 시기는 2026년 하반기다.

옵투스제약의 IR자료에 따르면 회사는 올해 1분기 기준 일회용 안구건조증 치료제 시장 점유율이 10.2%로 1위다. 1년 전보다 시장 점유율은 0.2%포인트(p) 확대됐다. 2위 업체와의 시장 점유율(8.8%) 격차도 조금씩 벌어지고 있는 추세다.

매출도 지난해 724억원으로, 1년 전(587억원)보다 약 23.3% 늘었다. 올해 매출액은 850억원, 영업이익 93억원으로 회사는 전망하고 있다. 영업이익도 꾸준히 흑자(2021년 105억원, 2022년 53억원, 2023년 82억원)를 기록했다.

옵투스제약은 삼천당제약이 2012년 140억원을 들여 지분 55%를 매입, 최대주주로 등극하며 종속회사로 편입시킨 회사다. 이후 삼천당제약은 CB 전환과 증자 등을 통해 50억원을 추가로 투자했다. 옵투스제약 인수를 통해 안과용제 시장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겠다는 의도였다. 현재 삼천당제약이 보유한 옵투스제약 지분율은 39%다.

보유 지분율은 높지 않은 편이나, 삼천당제약의 전체 매출에서 옵투스제약이 기여하는 비중은 늘고 있다. 지난해 연결 실적으로 반영된 옵투스 제약 매출은 613억원으로 추정된다. 1년 전보다 120억원 가량 늘어난 셈이다.

하지만 2배에 가까운 생산능력 향상을 예고했음에도 주가나 주가수익비율(PER), 시가총액은 시장 기대치에 미치지 못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실제 현재 옵투스제약 시가총액은 1000억원대 초반이며, PER(2023년 기준)도 10배 미만이다. 회사의 주가수익비율(PER)은 2021년 11.34배, 2022년 20.40배에서 지난해 7.99배로 떨어졌다.

이 회사와 비슷하게 일회용 안구건조증 치료제를 생산하고 있는 안국약품(001540)의 시총은 998억원에 PER이 15.50배, 삼진제약(005500)의 시총은 2822억원에 2023년 기준 PER은 21.46배다. 옵투스제약과 시총이 비슷한 안국약품의 영업이익은 2021년 적자, 2022년 97억원, 지난해 51억원을 각각 기록해 옵투스제약보다 적다.

저평가 원인으로 지목되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내수 위주의 사업모델로 성장이 제한적이란 점이다. 성장성을 확보하기 위해 공장 증설을 발표했음에도 제한된 정보로 인해 주가도 크게 탄력을 못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데일리는 옵투스제약에 증설을 통한 추가 생산 품목, 연도별 공장 가동률과 BEP 달성 추정 시기와 근거 등을 질문했으나 회사는 “연도별 공장 가동 및 제품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은 현재 영업전략에 관한 부분으로서 공개하기 어려운 상황이다”며 “완공 전 적절한 시기에 해당 정보를 공개하겠다”고 답했다.

해외 진출에 따른 매출 발생 시기도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옵투스제약은 지난 2021년 삼천당제약과 녹내장 치료용 일회용 점안제 개량신약 4개 품목에 대한 수출공급 계약을 맺었다. 하지만 1분기 보고서를 보면 회사의 해외 매출은 매년 7억원이 채 되지 않는 상황이다.

한 투자은행(IB)업계 관계자는 “아무리 증설을 하더라도 내수시장에 치중되어 있다면 기업가치 향상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며 “이를 탈피하려면 해외 진출 경험이 있는 모회사 삼천당제약으로부터 수주를 받는다면 되겠지만 아직까지는 가시화된 게 없어 보인다. 이런 부분이 숫자로 증명된다면 기업가치 재평가가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마감

의과대학 입학정원 증원 어떻게 생각하세요?

필요하다

134명( 82% )

불필요하다

29명( 17% )

저작권자 © 팜이데일리 - 기사 무단전재, 재배포시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