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기사는 인쇄용 화면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바이오 스페셜]너도나도 ‘마이크로바이옴’ 투자...왜?
  • CJ제일제당 '천랩', 아미코젠 '비피도' 인수
  • 수십년 '미생물' 연구…마이크로바이옴 인수 시너지
  • "건기식 이어 신약 개발에도 나설 것"
  • 인간 체중의 1~3%, 유전자 정보는 200만~400만개
  • "질병의 90% 이상이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연관"
  • 등록 2021-08-22 오후 4:15:00
  • 수정 2021-08-22 오후 4:15:00
[이데일리 박미리 기자] 최근 한 달 새 CJ제일제당, 아미코젠이 잇따라 마이크로바이옴 업체를 인수하면서 화제가 되고있다. 인간 질병 대부분을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마이크로바이옴’이 주목받고 있다.

지난달 21일 CJ제일제당(097950)아미코젠(092040)은 각각 국내 마이크로바이옴 전문업체인 천랩(311690), 비피도(238200)의 최대주주가 됐다. CJ제일제당은 천랩의 지분 44%를 983억원에, 아미코젠은 비피도 지분 30%를 601억원에 각각 인수했다.

마이크로바이옴 인체 건강의 상관관계 (자료=삼성KPMG 경제연구원 보고서)


마이크로바이옴은 ‘인체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 모든 미생물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인간 질병의 90% 이상이 장내 마이크로바이옴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인간 마이크로바이옴은 95%가 장 등 소화기관에 있다. 마이크로바이옴이 인간 질병 대부분을 치료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오는 배경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의약품은 장내 미생물이 주원료인 만큼 합성, 바이오의약품들에 비해 부작용이 적을 것이라는 인식이 있다”고 했다.

CJ제일제당·아미코젠 시너지는

CJ제일제당과 아미코젠은 마이크로바이옴 업체 인수로 상당한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 CJ제일제당은 식품회사 이미지가 강하지만 현재 매출의 21%(작년 순매출 5조원대)를 ‘바이오 사업’에서 올리는 회사다. 아미노산 등 식품소재·첨가물을 만드는 ‘그린 바이오’, PHA(바이오플라스틱) 등 친환경 소재를 만드는 ‘화이트 바이오’가 그것이다. 조미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오랜기간 그린바이오 산업을 영위하면서 글로벌 최고 수준의 미생물 균주 및 발효 기술을 축적했다”고 평가했다. CJ제일제당은 라이신, 핵산 등 시장에서 글로벌 1위이며 2015년 세계 최초로 발효기반 L-메치오닌을 개발한 바 있다.

아미코젠은 2000년 효소 엔지니어링으로 시작한 바이오 기업이다. 효소는 효모의 대사작용에서 발생하는 물질이다. 현재 아미코젠은 효소·바이오의약품, 헬스케어, 바이오의약품 소재 등 사업을 영위하는데 모두 회사의 근간인 ‘효소’ 역량이 누적되면서 진출한 분야다.

두 기업은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해 일단 헬스케어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인구 고령화, 웰빙 등 추세로 건기식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 따르면 글로벌 마이크로바이옴 시장도 2019년 811억1000만달러(96조원)에서 연평균 7.6% 성장해 2023년 1086억8000만달러(129조원)가 될 전망이다. 이중 식음료(2023년 기준)가 92%를 차지한다.

중장기적으론 치료제 개발에 나선다. 신용철 아미코젠 대표은 “최근 확보한 엔돌라이신 효소를 통해 나쁜균을 죽이고 비피도박테리아를 넣어 좋은균을 늘리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비만 치료제’를 검토 중”이라고 했다. CJ그룹 측도 “단기간 내로 의약품을 출시하기는 어렵겠지만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한 신약 개발에도 힘을 쏟을 것”이라고 밝혔다. CJ그룹은 2018년 CJ헬스케어를 매각하면서 신약 개발에서 손을 뗐다.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 현황

현재까지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허가를 받아 시판 중인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가 없는 만큼 신약 개발 시 두 기업이 누릴 수혜도 클 전망이다. 정윤택 제약산업전략연구원 대표는 “현재 허가를 받아 시판 중인 치료제가 없다는 점에서 허가 단계에선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나 개발이 되면 ‘퍼스트 무버’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도전할 만한 가치는 있다”며 “글로벌 측면에서 볼 때 국내 마이크로바이옴 업체들도 충분한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했다.

현재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개발이 가장 빠른 업체는 미국 세레즈테라퓨틱스다. 최근 가막성 대장염 치료제 임상 3상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고 발표하고 네슬레와 FDA 승인시 공동 상업화에 나선다는 계약을 체결했다. 국내에선 고바이오랩이 건선과 아토피 치료제로 글로벌 임상 2상을 진행해 단계가 가장 빠르다.

마감

의과대학 입학정원 증원 어떻게 생각하세요?

필요하다

134명( 82% )

불필요하다

29명( 17% )

저작권자 © 팜이데일리 - 기사 무단전재, 재배포시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