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진수 기자]
한미약품(128940)이 그동안 파이프라인을 기술수출해 실적을 올리는 전략을 취해왔지만, 앞으로는 기술수출 뿐 아니라 신약을 끝까지 개발해 상용화하는 파이프라인도 점차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22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한미약품은 OCI그룹과 통합 이후에도 연구개발에 지속적으로 나서면서 신약개발에 더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한미약품은 별도 구조조정 없이 연구개발 인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신약 후보 물질 개발을 이어간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한미약품 그룹사는 지금과 같은 연구개발 중심 기조를 이어간다”고 말했다.
| 한미약품 본사. (사진=한미약품) |
|
국내 첫 기술수출 기록…기술수출 명가로 성장한미약품은 1989년 국내 제약사 중에서는 최초로 기술수출에 성공하면서 일찍이 기술수출에 눈을 떴다. 당시 한미약품은 글로벌 제약사인 로슈에 600만달러 규모의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이후 주요한 기술수출 계약을 살펴보면 한미약품은 2011년 아테넥스, 2012년 스펙트럼과 신약 후보물질 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2015년엔 ‘한미약품=기술수출’ 공식이 자리잡았다. 한미약품은 2015년 한 해에만 6개 제약사와 총 8건의 신약후보물질 기술수출에 성공하면서 제약업계를 선도했다. 이후에도 한미약품은 2016년, 2020년, 2021년에 꾸준히 기술수출에 나서면서 기술수출 명가로 거듭났다. 한미약품이 체결한 주요 기술수출 건의 계약규모 총합은 약 91억 2400만달러(12조2300억원)에 달한다.
국내 최대 기술수출 계약금 기록도 한미약품이 보유 중이다. 한미약품은 2015년 11월 사노피와 당뇨신약 3종의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하면서 4억유로라는 기록적 계약금을 확보했다. 이후 계약 내용이 일부 수정되면서 계약금이 2억400만유로로 줄었지만 국내 최대 계약금 타이틀은 유지하고 있다.
국내 기술수출 계약금 2위 역시 한미약품이 보유 중이다. 한미약품은 같은 해 얀센에 지속형비만당뇨치료제를 기술수출하면서 계약금 1억500만달러를 확보한 바 있다.
조기 자금 확보 필요성 낮아져…새 전략 세울까제약바이오 기업이 기술수출에 나서는 가장 큰 이유는 조기 자금 확보다. 신약 개발 완성을 위해서는 전임상 단계부터 임상 1~3상까지 거쳐야하는데, 특히 임상 3상의 경우 대규모로 이뤄지기 때문에 적게는 1000억원부터 많게는 1조원까지도 비용이 투입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제약바이오 기업에게 연구개발 자금 확보는 늘 경영의 중심에 있다.
10년이 넘는 시간을 투자하고 수천억원을 사용하더라도 신약 개발 성공 확률은 0.01% 수준에 그친다. 기업 입장에서는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 무리수를 두기보다 기술수출을 통해 자금 조달과 기업의 운영을 안정화 시키는데 더 집중하게 되고 결국 기술수출이라는 선택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미약품 역시 자금 조달 측면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만큼 그동안 파이프라인을 기술수출하면서 안정적 자금 확보 전략을 펼쳐왔다.
한미약품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1929억원, 2098억원, 2261억원, 1615억원, 1779억원 등 매출의 10% 이상을 매년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3분기 기준 한미약품이 보유한 현금성 자산은 1881억원에 그쳐있다. 한미약품의 파이프라인 수가 20여개 이상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넉넉한 상황은 아닌 셈이다.
반면, 지난해 3분기 기준 OCI홀딩스의 현금성 자산은 1조705억원에 달한다. 2022년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9767억원으로 1조원에 가까워 자금 조달 측면에서 비교적 자유롭다.
| 한미약품 파이프라인. (사진=한미약품) |
|
파이프라인 따라 ‘투트랙’도 가능할 듯한미약품은 그동안 기술수출 위주의 전략을 펼쳐왔던 만큼 개량신약 제외 신약 허가를 획득한 제품은 호중구 감소증 치료제 ‘롤론티스’ 한 개 뿐이었다. 그러나 이번 그룹 통합으로 연구개발에 사용할 자금이 넉넉하게 확보된 만큼 임상 3상까지 모두 자체적으로 실시해 자체 상용화까지 나서는 파이프라인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한미약품의 파이프라인은 크게 대사·비만, 항암, 희귀질환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 대사·비만, 희귀질환의 경우 바이오 의약품의 반감기를 늘려주는 혁신적 플랫폼 기술 ‘랩스커버리’(LAPSCOVERY)가 적용된 파이프라인이 다수 있고 실제로 이를 적용했을 때 효과 증대가 기대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자체 상용화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분석된다.
이밖에 개발 중인 항암 파이프라인 중 7개는 이미 글로벌 제약사와 파트너십을 체결해 연구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만큼 향후 기술수출 전략을 그대로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관련 한미약품 관계자는 “아직까지 향후 신약 개발 방향에 대해 정리된 것은 없다”라며 “OCI그룹과 통합 작업이 완료된 이후 전반적인 계획을 세우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