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영환 기자] 제 20대 대선이 2달 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제약·바이오 업계도 새로 탄생할 정부에 귀추를 주목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도 제약·바이오 업계의 성장세가 눈부신 가운데 더 큰 도약을 맞기 위해서는 정부와의 협업이 무엇보다 중요해서다. 제약·바이오 업계는 차기 대통령이 직접 이를 살필 수 있는 조직 마련을 당부하고 나섰다.
| 주요 K바이오 기업들이 몰려 있는 송도 전경(사진=인천경제자유구역청) |
|
6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제약·바이오 업계는 20조원 대의 수출을 기록하면서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그간 가능성만 보여줬던 제약·바이오가 반도체와 자동차, 배터리 등과 함께 대한민국의 새로운 먹거리가 될 수 있음을 입증한 한 해였다. 제약·바이오는 대선 후보들도 향후 한국 경제 발전을 위해 챙겨야 하는 명실상부한 주력 산업이 됐다.
제약·바이오 업계는 산업 전반을 꿰뚫어보고 중장기 대책을 마련할 수 있는 대통령직속의 컨트롤타워 구축을 건의하고 있다. 데이터와 네트워크, 인공지능(AI) 등을 아우르는 문재인 정부의 ‘4차산업혁명위원회’와 유사하게 제약·바이오 업황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조직 신설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지난해 한국 제약·바이오 업계는 눈에 띄는 성과를 거뒀지만 일정 부분 코로나19 팬데믹에 의존한 바가 컸다. 코로나19 진단키트로 시작해서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나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 등의 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CMO) 분야가 급팽창하면서 수출을 이끌었다.
다만 글로벌 의약품 성과는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올해까지 승인한 혁신 개발신약은 33개에 달하지만 연매출 500억원을 넘기에도 벅차다. 혁신 개발신약 개발을 기업 차원에 맡기는 것이 아니라 신약 후보물질을 옥석가리기 한 뒤 펀드를 통해 조성하는 방식으로 글로벌 혁신 신약 개발에 다가설 수 있다는 게 업계의 판단이다.
코로나19 팬데믹이 3년 넘게 유지되는 상황에서 백신 주권 확립도 중요한 사업이다. 한국은 글로벌 백신허브로 도약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지만 자체 개발 백신이 없는 지금 상황이라면 생산기지에 그칠 수밖에 없다. 코로나19 유행 초기 각국의 자국 이기주의를 확인한 현재, 한국 역시 K-백신 개발이 필수적이다.
업계는 또 원료의약품의 자급도를 높일 것을 강조했다. 원료의약품 자급도는 시장의 질서로는 높일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중국이나 인도 등에서 밀려오는 저렴한 원료의약품의 유혹을 뿌리칠 개별 기업은 없다. 의약품 공급망 자국화를 위해서는 정부가 앞장서야 한다는 것이 제약·바이오 업계 주문이다.
원회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은 “제약주권 확립과 제약바이오 강국 실현은 보건안보와 국가경제 발전을 위해 반드시 가야 할 길”이라며 “이를 위해서는 차기 대선에 나선 각 후보가 산업계 제안을 정책 공약에 확실히 담아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