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기사는 인쇄용 화면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제약·바이오산업, 대도약 전제는 기업간 협업”
  • [만났습니다]②원희목 제약바이오협회 회장
  • 제약·바이오기업 태도도 변화
  • 개별이익보다 공동목표 추구
  • 보다 구체적인 협업모델 필요
  • “남은 임기엔 오픈이노베이션 구축”
  • 등록 2022-05-02 오전 5:50:13
  • 수정 2022-05-02 오전 5:50:13
[이데일리 나은경 기자] 제약·바이오산업이 한국의 미래성장동력으로 떠오르면서 산업을 대하는 업체들의 태도도 크게 달라졌다는 것이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의 설명이다. 특히 기업들이 각자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대신 점점 산업 전체의 이익을 보는 장기적인 안목을 키워나가고 있다고 했다.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이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10년간 제약·바이오산업의 변화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한국제약·바이오협회)


원 회장은 “제약·바이오기업들이 이제는 협회를 단순히 애로사항이 있을 때 민원을 해결하는 창구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신약개발과 같은 중장기적인 과제를 함께 해결하는 동반자로 여기고 있다”고 말했다.

그가 대표적인 사례로 꼽은 것은 지난해 출범한 한국혁신의약품 컨소시엄(KIMCo)이다. 당시 58개 제약·바이오기업들은 혁신신약을 만들자는 KIMCo의 설립 필요성에 공감해 협회와 함께 71억원 규모의 투자금을 공동 출자했다.

지난해 복제약의 허가 난립을 막기 위해 ‘공동생동 1+3 제한 법안’이 이슈가 됐던 때도 달라진 기업들의 태도를 실감했다고 그는 회고했다. 이 법안이 시행되기 전까지는 여러 제약회사가 하나의 제제를 두고 공동생동성시험을 한 후 각자의 복제약을 출시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같은 성분이면서도 이름만 서로 다른 복제약이 난립한다는 비판이 있었다. 공동생동 1+3제한 법안은 1개의 복제약당 3개까지만 공동생동성시험을 진행할 수 있게 제한한다. 그는 “공동생동성시험에 드는 비용이 큰 만큼 협회에선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의 이해관계와 법안의 내용이 상충될까봐 우려했다”며 “하지만 법안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힘을 합치자는 데 동의하는 기업들이 많았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원 회장은 여기서 더 나아가 제약·바이오기업들의 구체적인 협업모델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원 회장은 “제약·바이오산업의 대도약을 위해 규모의 한계를 극복하려면 협력은 필수”라며 “오픈 이노베이션 활성화를 통해 재무·전략적 투자자나 벤처캐피털(VC) 등 다양한 투자 수단을 확보하고, 인수합병(M&A), 공동연구·공동개발, 기술거래 등을 통해 신약개발 성공확률을 높여 다 같이 성장하는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남은 임기 동안 산업계에 글로벌 오픈 이노베이션을 자리잡게 하는 데 주력한다는 각오다.

마감

의과대학 입학정원 증원 어떻게 생각하세요?

필요하다

134명( 82% )

불필요하다

29명( 17% )

저작권자 © 팜이데일리 - 기사 무단전재, 재배포시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