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기사는 인쇄용 화면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X
잠깐! 아래 내용을 확인 해 주세요.

브라우저 좌측 상단에 그림과 같은 요청이 뜬다면

허용을 눌러 설정을 완료해 주세요.

얼랏창

요청이 뜨지 않았다면 다음 > 안내를 참고해 주세요.

권한 요청을 받지 못하셨나요?
  • view_chrom(좌측상단)
  • view_edge(우측상단)
  • view_whale(우측상단)

사용중인 브라우저의 주소창을 확인 후 알람아이콘아이콘을 눌러 허용해 주세요.

설정 즉시 브라우저 알림이 활성화 됩니다.

3D 바이오 프린팅서 돌파구 찾는 ‘노보 노디스크’...티앤알바이오팹도 재주목
  • 노보 노디스크 3D 바이오 프린팅 전문 '애즈팩스'와 손잡아
  • 대사질환 조직 치료제 후보 4종...27억 달러 규모 기술도입
  • 2030년경 당뇨·비만 치료제 특허 만료..."차기 대책 필요"
  • 재생의료-바이오 프린팅 연관성 부상...티앤알바이오팹 재주목
  • 등록 2023-04-18 오전 7:41:52
  • 수정 2023-04-18 오전 7:41:52
[이데일리 김진호 기자] 덴마크 노보 노디스크가 대사질환 대상 재생의료 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해 3차원(3D) 바이오 프린팅 전문 바이오텍과 대규모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당뇨나 비만 시장을 주름잡아 온 노보 노디스크가 해당 시장의 주도권을 이어가기 위해 재생 의료와 바이오 프린팅의 접목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분석이다. 업계에서는 재생의료 산업과 맞물려 있는 국내 3D 바이오프린팅 전문 기업 티앤알바이오팹(246710) 등도 동반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덴마크 노보 노디스크가 최근 대사질환 대상 차세대 재생의료 치료제 개발을 위해 캐나다 3차원(3D) 바이오 프린팅 전문 ‘애즈팩트 바이오시스템즈’과 27억 달러 규모 기술도입 계약을 체결했다.(제공=각 사)


12일(현지시간) 노보 노디스크는 신개념 비만 및 당뇨병 치료제 개발을 위해 캐나다의 3D 바이오프린팅 전문 바이오텍 ‘애즈팩트 바이오시스템즈’(Aspeck biosystems, 애즈팩트)의 후보물질 4종을 총 26억7500만 달러 규모(한화 약 3조 5150억원)로 기술이전받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3D 바이오 프린팅은 다양한 생체 재료를 활용한 프린팅을 통해 복잡한 조직의 구조체를 생성하는 기술이다. 이를 활용하면 인공 조직이나 장기, 세포치료제를 생성하기 위한 생체 내 환경을 보다 세밀하게 조성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계약에 따르면 노보 노디스크는 애즈팩트가 보유한 세포 잉크 기반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로 생성된 4종의 조직 치료제 후보물질에 대한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도입하기 위해 계약금으로 7500만 달러를 선지급한다. 회사는 “애즈팩트는 1형 당뇨병 타깃 줄기세포 치료제를 분화하는데도 도움이 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며 “이번에 기술도입한 각 후보당 개발 단계별로 6억5000만 달러씩 추가 마일스톤을 지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설명했다.

노보 노디스크는 지난 2000년 재조합 기술로 생성한 변형 인슐린인 ‘노보로그’를 당뇨병 치료제로 미국에서 허가받으면서 대사질환 신약 개발사로 거듭난 기업이다. 이후 회사는 2형 당뇨병 치료제 ‘빅토자’(성분명 리라글루타이드)와 ‘오젬픽’(성분명 세마글루타이드) 등을 각국에서 시판하는 데 성공했다. 회사는 이들을 각각 ‘삭센다’와 ‘위고비’등의 비만 치료제로 약물 재창출하는데도 성공해 세계 대사질환 시장을 주름잡고 있다.

노보 노디스크에 따르면 이 4종의 대사질환 치료제를 통해 회사는 지난해 총 289억2700만 덴마크 크로네(한화 약 37조9320억원)에 이르는 매출을 올렸다. 이에 따라 노보 노디스크의 시가총액은 이날 기준 3818억5000만 달러(한화 약 500조9108억원)로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 중 미국 존슨앤존슨(5173억9000만 달러)에 이어 2위에 올라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약물이 모두 2030년을 전후로 특허 만료를 앞두고 있기 때문에 노보 노디스크가 후속 대책 마련을 위해 발빠르게 나서고 있다. 실제로 빅토자와 삭센다는 중국과 일본 등에서 이미 만료됐다. 연내 미국과 유럽 연합(EU)에서 관련 물질 및 용도 특허가 만료된다. 오젬픽과 위고비 역시 2026년 중국을 시작으로 2031~2032년이면 일본, 미국과 EU 등 주요국에서 관련 특허가 만료될 전망이다. 노보 노디스크가 현재의 성장세에 안주할 수 없는 이유다.

국내 대사질환 치료제 개발 업계 관계자는 “각종 치료제가 난무하는 당뇨 시장은 물론이고 일라이릴리의 ‘마운자로’(성분명 티르제파타이드)와 같은 경쟁 비만 치료제 시장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노보 노디스로서는 새로운 출구 마련에 관심이 많을 수밖에 없다”고 운을 뗐다.

그는 이어 “현재까지 개발된 당뇨병 치료제는 모두 질환을 관리하는 수준의 약물이다. 인슐린 생성의 문제를 해결해줄 재생치료제의 개념이 대안으로 떠오른 지 오래다”며 “해당 분야에서 이미 노보 노디스크가 한발 늦었다는 평가도 있다”고 조언했다.

인슐린 생성에 관여하는 췌장 베타(β)세포를 생성시키기 위해 미국 버텍스 파마슈티컬스(버텍스)가 2021년부터 미국에서 유도만능줄기세포(iPSC)기반 관련 재생 치료제 후보물질 ‘VX-880’의 임상 1/2상을 진행하고 있다. 해당 임상은 1형 당뇨병과 함께 심각한 저혈당증 등과 관련한 환자를 포함하며 2028년 1월에 종료될 예정이다.

이밖에도 버텍스는 지난달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캡슐형 췌도세포 재생치료제 신약 후보 ‘VX-264’의 임상 1/2상도 승인받았다. 하지만 지난해 FDA가 버택스의 VX-880의 장기 효능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면서, 1형 당뇨병 등 대사질환의 완치가 가능한 재생치료제 시장을 개척할 기업은 예측하기 어려운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편 국내에서는 티앤알바이오팹이 3D 바이오 프린팅 기반 각종 생체 구조체 제작 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는 지난 2월 한국존슨앤존슨메디컬과 3D 바이오 프린팅으로 생성한 임플란트 제품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이에 국내 바이오 프린팅 기술 개발 업계 한 연구자는 “iPSC를 포함해 최근 주목받는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까지 3D 바이오프린팅의 활용도가 커지고 있고, 관련 기업과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노보 노디스크가 애즈팩트에 주목한 것처럼 향후 재생의료 시장에서 3D 바이오 프린팅 업계의 입지는 강화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마감

의과대학 입학정원 증원 어떻게 생각하세요?

필요하다

134명( 82% )

불필요하다

29명( 17% )

저작권자 © 팜이데일리 - 기사 무단전재, 재배포시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