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기사는 인쇄용 화면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X
잠깐! 아래 내용을 확인 해 주세요.

브라우저 좌측 상단에 그림과 같은 요청이 뜬다면

허용을 눌러 설정을 완료해 주세요.

얼랏창

요청이 뜨지 않았다면 다음 > 안내를 참고해 주세요.

권한 요청을 받지 못하셨나요?
  • view_chrom(좌측상단)
  • view_edge(우측상단)
  • view_whale(우측상단)

사용중인 브라우저의 주소창을 확인 후 알람아이콘아이콘을 눌러 허용해 주세요.

설정 즉시 브라우저 알림이 활성화 됩니다.

샤페론, 비만치료제 개발 착수…경쟁력은?
  • 차세대 염증 복합체 억제제에 '비만치료제' 추가
    경구 투여, 염증 복합체 타깃으로 차별성 확보
  • 등록 2023-12-11 오전 8:59:12
  • 수정 2023-12-11 오전 8:59:12
[이데일리 김진수 기자] 샤페론(378800)은 최근 대세로 떠오른 ‘비만치료제’ 개발에 착수했다. 샤페론은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염증복합체 억제제 기술에서 효과를 좀 더 높인 차세대 염증 복합제 억제제로 비만치료제를 개발, 다른 제품들과 차별성을 둔다는 계획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샤페론은 최근 새롭게 준비 중인 비만치료제에 대한 1차 동물 유효성을 확인했다. 비만치료제 파이프라인 명칭은 ‘누베신’으로 결정했으며 본격적인 개발에 나설 준비를 마쳤다.

누베신은 염증 복합체 억제제 기반의 치료제다. 최근 유행하는 비만치료제는 대부분 글루카곤유사펩타이드-1(GLP-1) 계열 치료제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해 혈당을 강하하는 효과를 보이며 뇌에서 식욕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GLP-1 계열 치료제와 다르게 샤페론 누베신은 비만 원인 중 염증과 관련된 부분을 타깃으로 해 비만을 치료하는 방식이다. 특히, 대부분 GLP-1 계열 치료제가 주사제 형태인 반면 누베신은 경구 투여 방식으로 개발이 이뤄질 예정으로 성공한다면 투약 편의성 측면에서 우위를 점할 것으로 기대된다.

샤페론 관계자는 “누베신은 완전히 새로운 물질로 비만치료제에 대한 기본적인 효과를 확인한 상황”이라며 “경구 투여 방식의 치료제로 개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샤페론 염증 복합체 억제제 기전. (사진=샤페론)
항염증 억제 기반 비만치료제 후발주자…기전 차이로 극복할까

국내에서는 글라세움이 이미 염증 억제 기반의 비만치료제 HSG4112 개발에 나서 임상 2a상까지 진행하는 등 샤페론의 누베신보다 개발에 앞서 있다. 또 국내 개발 및 판매 파트너사로 대원제약과 계약을 체결한 상태다.

누베신과 HSG4112는 염증을 억제해 체중 감소 효과를 낸다는 점에서는 같지만 구체적인 타깃이 다르다. 효과 측면에서도 차이가 예상되는 만큼 누베신은 후발주자임에도 충분한 가치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글라세움 HSG4112는 미토콘드리아에 위치한 PON2(Paraoxonase2)를 타깃으로 한다. PON2는 미토콘드리아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를 감소시켜 염증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HSG4112가 노화 및 만성염증으로 저하된 PON2 기능을 활성화시켜 에너지 대사가 증가되면서 비만을 치료하는 방식이다.

반면, 누베신은 염증 반응 활성화를 담당하는 선천 면역 단백질 ‘인플라마좀’(염증 복합체)을 타깃으로 해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비만을 치료할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인플라마좀은 비만 원인 중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 특히 지방 조직에서의 인플라마좀 활성화가 비만과 관련이 있는데, 인플라마좀 활성화는 지방 조직 내 염증을 촉진한다.

인플라마좀 활성화로 인한 염증 반응이 지속되면 대사 이상 등의 질환이 발생하는 등 대사 활동에 부정적인 결과를 낳는데, 누베신이 이를 억제해 비만을 치료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동안 샤페론은 독자적인 GPCR19-P2X7 조절 메커니즘을 통해 인플라마좀을 억제하는 물질을 개발해왔으며, 주요 염증인자를 개시 단계 뿐 아니라 증폭 단계에서도 억제해 기존의 접근 방식에 비해 차별화된 효과를 확인했던 만큼 비만치료제에서도 이를 적극 활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샤페론 관계자는 “누베신은 활성산소를 줄여 염증을 억제하는 PON2 타깃과는 다른 기전으로 개발되고 있다”라며 “1세대 염증복합체 억제제보다 우수한 효과와 안전성을 갖춘 물질로 회사 정책상 구체적인 기전에 대해 밝히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차세대 염증 복합제 파이프라인으로 아토피 피부염 및 비알콜성지방간염이 있는데 비만치료제는 이와 또 다른 물질”이라며 “아직까지 개발 초기 단계인 만큼 추후 개발이 더 진행된 뒤 구체적인 기전 등에 대해 밝힐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4조3000억원 규모였던 글로벌 비만치료제 시장규모는 올해 2배가 넘는 10조원 이상으로 성잘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2030년 비만치료제 시장규모가 약 71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마감

의과대학 입학정원 증원 어떻게 생각하세요?

필요하다

134명( 82% )

불필요하다

29명( 17% )

저작권자 © 팜이데일리 - 기사 무단전재, 재배포시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