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기사는 인쇄용 화면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룬드벡 “에이프릴바이오 ‘APB-A1’, 안전성·유효성 확인”
  • 룬드벡, 8일 실적발표서 APB-A1 언급
  • 1상 성공한듯… 내년 2분기 2상 진입
  • 등록 2023-11-09 오전 8:08:10
  • 수정 2023-11-09 오후 1:29:26
[이데일리 석지헌 기자] 에이프릴바이오(397030)가 2021년 덴마크 제약사 룬드벡에 기술이전한 ‘APB-A1’의 임상 1상에서 안전성과 효능이 확인됐다. APB-A1은 내년 2분기 임상 2상에 진입할 전망이다.

APB-A1 임상 1상 결과 요약본 부분.(출처= 룬드벡)
8일(현지시간) 룬드벡은 올해 3분기 실적 발표를 하면서 에이프릴바이오로부터 도입한 CD40L 저해제 APB-A1의 임상 1상 결과 요약본을 공개했다.

룬드벡 측은 “모든 투여 용량에서 안전성을 보였으며 투여 용량에 따라 강하고 지속적으로 CD40L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즉 투여용량을 늘릴수록 높은 효능을 나타냈으며, 부작용도 없었다는 것이다.

룬드벡 측은 임상 1상이 성공적으로 완료됐다고 보고 내년 2분기 임상 2상에 진입할 예정이다. APB-A1의 구체적인 임상 결과 등은 오는 30일 런던, 다음달 6일 뉴욕에서 열리는 투자자 대상 R&D 설명회에서 공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에이프릴바이오는 2021년 룬드벡에 최대 4억4800만 달러(약 5400억원)에 APB-A1을 기술이전했다. 룬드벡은 지난해 3월부터 미국에서 임상 1상 연구를 진행해왔다.

APB-A1은 최근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의 신규 표적으로 주목받는 CD40L을 표적하는 후보물질이다. 에이프릴바이오 약물 지속형 플랫폼인 ‘SAFA’의 가치를 증명할 첫 번째 사람 대상 임상이다. SAFA를 이용하면 체내 반감기를 늘릴 수 있고 면역세포에 대한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한다.

마감

국내 비만치료제 개발 기업 중 가장 기대되는 곳은?

1. 한미약품

255명( 29% )

2. 디앤디파마텍

115명( 13% )

3. 동아에스티

50명( 5% )

4. 디엑스앤브이엑스

16명( 1% )

5. 펩트론

324명( 37% )

6. 기타 (댓글로)

110명( 12% )

저작권자 © 팜이데일리 - 기사 무단전재, 재배포시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