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기사는 인쇄용 화면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X
잠깐! 아래 내용을 확인 해 주세요.

브라우저 좌측 상단에 그림과 같은 요청이 뜬다면

허용을 눌러 설정을 완료해 주세요.

얼랏창

요청이 뜨지 않았다면 다음 > 안내를 참고해 주세요.

권한 요청을 받지 못하셨나요?
  • view_chrom(좌측상단)
  • view_edge(우측상단)
  • view_whale(우측상단)

사용중인 브라우저의 주소창을 확인 후 알람아이콘아이콘을 눌러 허용해 주세요.

설정 즉시 브라우저 알림이 활성화 됩니다.

티움바이오부터 GSK도 손잡았다...다중 플랫폼 입증하는 한소제약은?
  • 시총 약 14조원, 혁신신약 6종 배출한 中 '한소제약'
  • GSK에 ADC 후보 2종 기술수출 성공...30종 추가 임상개발 中
  • 티움바이오나 올릭스 등 K바이오텍으로부터 기술 수혈도
  • 등록 2023-12-27 오전 9:06:31
  • 수정 2023-12-27 오전 9:06:31
이 기사는 2023년12월27일 9시6분에 팜이데일리 프리미엄 콘텐츠로 선공개 되었습니다. 구독하기
[이데일리 김진호 기자]중국 한소제약이 최근 영국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와 항체약물접합(ADC) 신약 개발 동맹을 맺었다. 특히 최근 2년 사이 한소제약은티움바이오(321550), 올릭스(226950) 등 K-바이오텍과도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등 국내외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꾸준히 체결하고 있다. 회사가 3세대 TKI 억제 방식의 폐암 치료제 ‘아밀레’를 비롯한 혁신 신약 6종을 통해 확보한 자금을 성장동력 발굴에 쏟고 있는 것이다. 중국 정부가 장려하는 혁신 신약 배출 선두 기업으로 한소제약이 급부상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중국 한소제약이 국내 티움바이오나 올릭스, 영국의 글락소스미스클라인과 파트너십을 꾸준히 체결하며 신약개발 역량을 확대 및 입증하고 있다.(제공=각 사)
26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중국 내 10대 제약사로 알려진 한소제약이 차기 성장 발판으로 신약개발 협력 체계를 적극 구축하고 있다. 파트너십의 성과에 따라 향후 주가도 요동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빅파마인 GSK가 한소제약과 ADC 관련 후보물질에 대한 2건의 기술수출 계약을 맺은 것으로 확인됐다. GSK는 지난 10월 한소제약이 발굴한 ‘HS-20089’(중국 내 고형암 대상 임상 1상)의 중국어권 외 지역에서 글로벌 개발 권리에 대한 독점적 기술이전 계약을, 2달 뒤인 지난 20일 ‘HS20093’(중국 내 고형암 대상 1상 또는 2상 진행)에 대해 총 최대 17억1000만 달러 규모 같은 권리를 가져가는 계약을 각각 체결했다.

한소제약은 글로벌 기업에게 자사 물질을 기술수출하거나 국내외 기업의 유력 후보 물질을 중국으로 들여오기 위한 기술이전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후자의 예로는 지난해 8월 한소제약이 티움바이오로부터 1억7000만 달러(약 2200억원) 규모로 TU2670의 중국 지역 전용 실시권을 기술이전받은 계약을 들 수 있다. TU2670은 자국내막증을 타깃하는 티움바이오의 주력 후보물질이다.

한소제약은 지난 7월 중국 국가약품관리감독국(NMPA)으로부터 TU2670(중국 코드명 HS-10518)에 대한 임상 1상 시험 계획서를 승인받기도 했다. 이외에도 티움바이오가 지난달 유럽 내 TU2670의 임상 2a상에서 성공적인 탑라인 결과를 내놓기는 등 해당 물질의 글로벌 개발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한소제약은 자체 개발 또는 파트너십을 통해 확보한 30종의 혁신 신약 후보물질에 대해 40여 개의 임상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 같은 혁신 신약 후보물질인 한소제약이 보유한 다양한 신약개발 플랫폼을 통해 배출하는 중이다.

한소제약은 GSK에 이전한 ADC와 함께 단일클론항체(mAb), 짧은간섭리보핵산(siRNA), 이중융합 단백질, 나노입자 조성 기술 등 다양한 신약개발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중 siRNA 기술의 경우 국내 올릭스로부터 지난 2021년 최대 4억5100만 달러 규모로 기술 이전받은 ‘갈낙-asiRNA’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바이오 신약 개발 업계 관계자는 “나쁘게 보면 문어발식 확장이라고 할 수 있지만, 그만큼 자금력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성장 전략을 추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추가 혁신신약을 내놓을 동력을 다지고 있는 것”이라며 “국내 바이오텍이 한소제약과 같은 파트너사를 잡는다면 적어도 중국 시장에 진출하는 데 유리한 고지에 오를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한편 한소제약은 1995년 설립 이후 중국 내 제약바이오 기업 중 두 번째로 많은 6종의 혁신 신약을 배출했다. 여기에는 아밀레를 비롯해 ‘헝무’(Hengmu, B형간염바이러스 치료제), ‘한소신푸’(HansohXinfu, 만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 ‘푸라메이’(Fulaimei, 혈당조절 개선제), ‘메이링다’(Mailingda, 항생제) 등이 포함된다.

한소제약에 따르면 2022년 기준 한소파마의 매출은 93억8000만 위안, 순이익은 25억 80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각각 5.6%와 4.8%씩 감소했다. 회사의 시총은 지난 23일 기준 106억9000만 달러(한화 약 13조8500억원)로 2021년 최고점(347억 달러) 대비 약 30% 수준으로 쪼그라든 상황이다.

마감

의과대학 입학정원 증원 어떻게 생각하세요?

필요하다

134명( 82% )

불필요하다

29명( 17% )

저작권자 © 팜이데일리 - 기사 무단전재, 재배포시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