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새미 기자] ‘연결의 왕’으로 불리는 링크드인(LinkedIn) 창업주 리드 호프만(Reid Hoffman)이 인공지능(AI)과 신약개발 연결에 나섰다.
![](https://image.edaily.co.kr/images/photo/files/NP/S/2025/02/PS25020900491.jpg) | ‘링크드인(LinkedIn) 창업주’ 리드 호프만(Reid Hoffman)이 최근 인공지능(AI) 신약개발 스타트업 ‘마나스AI’(Manas AI)를 공동 창업했다.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
|
9일 바이오업계에 따르면 링크드인 공동 창업자이자 벤처 캐피털리스트인 리드 호프만이 지난달 27일 AI신약개발 스타트업 ‘마나스AI’(Manas AI)를 출범했다.
마나스AI의 공동 창업자인 싯다르타 무케르지(Siddhartha Mukherjee) 박사는 스탠포드 대학교 생물학 학사, 옥스퍼드 대학교 면역학 석사, 하버드 의과대학 의학 박사를 거쳐 뉴욕 콜럼비아 대학 메디컬 센터에서 혈액종양학 전문의로 근무하고 있다. 인도계 미국인 의사이자 저술가로서 암 연구와 의학, 생명과학에 대해 대중들에게 쉽게 전달하는 글을 많이 저술해왔다.
이번 스타트업 공동 창립 전까지 싯다르다 무케르지와 리드 호프만은 둘 다 스탠포드 대학교 출신이라는 점 말고 뚜렷한 접점이 밝혀지진 않았지만 둘 다 혁신과 지식 공유를 중시한다는 점에서 의기투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쇄창업가로도 유명한 그가 이번 창업에 뛰어든 이유는 신약개발에 AI를 접목해 혁신할 여지가 충분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통상적으로 신약개발에는 10년 이상의 시간이 걸리고 수십억 달러가 투입된다. 이 때문에 신약개발에 AI를 접목해 시간과 비용을 줄이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으며, 이번 마나스AI 출범으로 인해 이 같은 흐름에 편입하는 기업이 하나 더 늘었다.
마나스AI는 독보적인 AI 기반 플랫폼, 마이크로소프트와 파트너십, 세계적인 과학자 팀을 활용해 치료제 발견 모델을 혁신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를 통해 암, 자가면역질환, 희귀질환 치료법을 혁신하고 이러한 모델의 효과를 확인하면 신약도 개발할 계획이다.
마나스AI는 2460만달러(약 360억원)의 시드 라운드를 유치하고 마이크로스포트와 파트너십을 구축하면서 화려한 데뷔를 했다. 실리콘밸리에서 연결의 왕으로 불릴 만큼 가장 크고 넓은 네트워크를 보유한 호프만의 역할이 돋보이는 대목이다. 링크드인의 공동 창업자인 호프만은 AI에 대한 선구안을 갖고 일찌감치 AI 관련 투자를 해왔다. 그는 챗GPT(ChatGPT)를 개발한 오픈AI(OpenAI)가 아직 비영리 단체였을 때 초기 투자자였으며, 2022년에는 챗GPT의 대항마인 생성형 AI 개발사 인플렉션 AI(Inflection AI)를 공동 창업했다.
신생 벤처인 마나스AI가 마이크로소프트와 파트너십을 구축한 데에는 호프만과 마이크로소프트의 돈독한 관계가 작용했을 것으로 풀이된다. 호프만은 링크드인이 마이크로소프트에 262억달러(약 38조원)에 인수된 이후 마이크로소프트의 이사회 멤버가 됐다. 이런 인연이 마나스AI가 마이크로소프트의 플랫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된 셈이다.
호프만은 마나스AI의 차별성이 ‘신속한 구축’과 ‘학습·배포’ 모드에 있다고 강조했다. 마나스AI의 초기 프로젝트 중 하나는 약물 결합의 원리를 규명해 새로운 화학 물질을 역설계하는 ‘프로젝트 코스모스’(Project Cosmos)이다. 아직 세부적인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호프만은 “대부분의 사람들은 암으로 사망했거나 심각한 암 문제를 겪은 가족, 친구가 있다”며 “우리가 이 분야에서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면 이것이 바로 AI가 인류에게 위대할 수 있는 이유”라면서 마나스AI 설립 배경을 설명했다.
◇리드 호프만 마나스AI 공동 창립자
△1967년 8월 5일 미국 캘리포니아 출생
△스탠포드대학교 심볼릭시스템즈 학사
△옥스퍼드대학교 대학원 철학 석사
△1994년 애플 취업
△1996년 후지쯔로 이직
△1997년 소셜넷 창업
△2000년 페이팔 합류
△2001년 소셜넷 폐업
△2002년 링크드인 공동 창업
△2002년~2009년 링크드인 최고경영자(CEO)
△2009년~현재 링크드인 대표 회장
△2011년 링크드인 기업공개(IPO)
△2015년 오픈AI 공동 설립
△2016년 마이크로소프트 이사회 멤버
△2022년 인플렉션 AI 공동 창업
△2025년 1월 마나스AI 공동 창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