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신민준 기자] ‘K바이오 글로벌 5대 강국 도약.’
 |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5일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린 바이오 혁신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
2030년까지 의약품 수출 2배 등 3대 목표 설정 이재명 대통령이 최근 야심차게 밝힌 바이오산업 관련 비전이다. 이 대통령은 이달 초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바이오산업 지원방안을 주제로 열린 ‘K바이오 혁신에 속도를 더하다’ 토론회에 참석해 바이오산업 육성 전략을 발표했다.
특히 이번 토론회에는 우리나라 바이오산업과 관련된 정부 부처 관료들이 총출동했다. 구윤철 기획재정부 장관을 비롯해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 △노용석 중소벤처기업부 차관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등 정부 고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했다.
우리나라 바이오산업의 대표주자들도 한자리에 모였다.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대표와 김경아 삼성바이오에피스 대표 △제임스 박 롯데바이오로직스 대표 △김바른 SK바이오사이언스 부사장 등 바이오기업의 대표·임원들도 다수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토론회에서 바이오산업을 국가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삼겠단 의지를 강하게 드러냈다. 이 대통령은 인사말에서 “바이오산업은 대한민국 미래 산업 중에서도 매우 중요한 분야가 될 것”이라며 “바이오는 미래 산업 발전의 핵심 키워드 중 하나”라고 언급했다. 정부는 이 자리에서 2030년까지 바이오 의약품 수출 2배 달성과 블록버스터급 신약 3개 창출, 글로벌 임상시험 3위 달성이라는 3대 목표도 밝혔다.
이 대통령은 목표 달성을 위해 신약 개발에 대한 속도전을 강조했다. 바이오시밀러 등 임상 3상 요건 완화와 인공지능 심사 도입, 허가 심사팀 운영 및 심사인력 확충 등을 통해 신약 개발이 지체되지 않도록 돕겠다는 것이다. 아울러 정부 펀드 확대와 앵커(닻) 역할의 위탁개발생산(CDMO)을 중심으로 한 동반 성장도 이끌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마중물이 될 바이오산업 관련 예산도 증액했다. 2026년도 보건복지부 예산안에 따르면 바이오헬스 연구개발(R&D) 예산은 전년보다 13.9% 늘어난 1조1232억원이 배정됐다. 정부는 식품의약품안전처 관련 예산도 증액해 신속허가 체계와 규제과학 인재 양성, 통합 상담 플랫폼 구축도 추진한다.
구체적인 청사진 제시 없어…지속적인 지원 필요 이 대통령이 토론회에 직접 참여해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했다는 점은 높이 평가할만하다. 하지만 아쉬운 부분도 적지 않다. 3대 목표에 대한 구체적인 청사진이 없기 때문이다. 바이오산업은 신약 개발에서 상용화까지 수십년이 소요될 정도로 호흡이 긴 만큼 중장기 로드맵이 필수 요소로 꼽힌다.
신약 개발의 핵심 중 하나인 글로벌 기술 이전 지원과 관련된 내용이 부족했다는 점도 아쉽다. 미국의 바이오산업 규제 강화와 중국의 바이오굴기 등 K 바이오를 둘러싼 여건은 녹록지 않다. 정부는 이번 토론회가 보여주기식 일회성 이벤트에 그치지 않도록 바이오업계와 긴밀한 소통을 통해 3대 목표를 조기에 달성할 수 있도록 내용 보완 및 구체적인 로드맵을 수립해야 한다. 특히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구호가 아닌 실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