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기사는 인쇄용 화면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X
잠깐! 아래 내용을 확인 해 주세요.

브라우저 좌측 상단에 그림과 같은 요청이 뜬다면

허용을 눌러 설정을 완료해 주세요.

얼랏창

요청이 뜨지 않았다면 다음 > 안내를 참고해 주세요.

권한 요청을 받지 못하셨나요?
  • view_chrom(좌측상단)
  • view_edge(우측상단)
  • view_whale(우측상단)

사용중인 브라우저의 주소창을 확인 후 알람아이콘아이콘을 눌러 허용해 주세요.

설정 즉시 브라우저 알림이 활성화 됩니다.

[펨토바이오메드 대해부] ①"사람이 최고 자산"..암치료제 개발 패러다임 바꾼다
  • 미세분석 화학 전문가 이상현 대표 설립
  • 세포 직접 전달 원천기술 ‘셀샷’ 완성
  • 전체 직원 중 40% 이상 R&D 인력
  • 이 대표 등 임직원 지분 절반 이상
  • 책임경영 꾀해..다양한 전문가 시너지
  • 이 대표 “핵심 경쟁력은 R&D 인력”
  • 등록 2021-12-21 오후 1:18:10
  • 수정 2021-12-22 오후 5:23:34
[이데일리 유진희 기자]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강타하면서 제약·바이오 산업의 중요도가 커지고 있다. 급성장세를 거듭하는 제약·바이오 산업은 자동차, 반도체 등에 이어 한국의 차세대 미래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할 것이 확실시된다. 이데일리의 제약·바이오 프리미엄 뉴스 서비스 ‘팜이데일리’에서는 한국을 이끌어 갈 K-제약·바이오 대표주자들을 만나봤다. 암치료제 개발의 패러다임을 바꿀 ‘펨토바이오메드’가 이번 주인공이다.

이상현 펨토바이오메드 대표. (사진=유진희)
펨토바이오메드는 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해 거쳐야 하는 중간 과정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세포 직접 전달 기술 ‘셀샷(Cellshot)’을 개발한 바이오 벤처기업이다.

이상현 펨토바이오메드 대표가 원천기술 개발하는 데 핵심역할을 했다. 그는 2008년 미국 미시간 대학교 박사 학위 과정에서 세포 역학 및 미세분석 화학 분야를 연구했다. 펨토초(1000조 분의 1초) 레이저 기반 미세유체를 만드는 방법을 개발해 셀샷의 개념을 완성했다.

2010년 5월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나노텍’에 나노전극으로 가동하는 세포 크기의 초소형 펌프 기술을 다룬 연구 논문도 실었다. 이 학술지에 공학 분야 논문을 게재한 것은 아시아인으로는 이 대표가 처음이었다.

그는 포항공과대학 연구교수로 일하며, 단일세포를 분석 조작하는 기술을 펨토레이저 시스템으로 만드는 것을 구상했다. 2011년 펨토바이오메드(전 펨토펩)의 설립 배경이다. 현재 나노 공학과 바이오 기술을 융합하는 플랫폼에 집중하며, 펨토바이오메드의 경영 및 연구개발(R&D) 총괄을 맡고 있다.

펨토바이오메드에는 이 대표와 뜻을 같이하는 전문가들도 다양하게 포진해 있다. 박준권 전무는 이 대표와 포항공대(기계공학)에서 인연을 맺고, 2013년 펨토바이오메드에 합류했다. 현재 기술총괄과 연구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한양대 의과학연구소 소화기내과에 근무했던 이재선 부장은 연구 프로젝트를 담당한다. 펨토바이오메드는 이들을 포함해 총 11명의 연구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전체 임직원(22명)의 절반이다.

구성원들 다수가 펨토바이오메드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최대 주주는 이 대표다. 45.97%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이어 한국투자 미래성장 벤처펀드 제22호(7.47%), 서울글로벌바이오메디컬신성장동력투자펀드(5.60%) 등이 지분을 나눠 갖고 있다.

이 대표는 “회사의 핵심 경쟁력은 원천기술과 R&D 인력”이라며 “원천기술을 강화하기 위해 핵심인력의 고용안정과 사기 고취에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마감

의과대학 입학정원 증원 어떻게 생각하세요?

필요하다

134명( 82% )

불필요하다

29명( 17% )

저작권자 © 팜이데일리 - 기사 무단전재, 재배포시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