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기사는 인쇄용 화면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툴젠, 크리스퍼 카스9 RNP 원천 기술 美 특허등록… ‘엑사셀’ 관련 美 소송 제기
  • 등록 2025-11-19 오전 9:36:31
  • 수정 2025-11-19 오전 9:36:31
[이데일리 나은경 기자] 유전자 교정 기술을 선도하는 툴젠(199800)은 미국 특허청(USPTO)으로부터 자사의 핵심 원천 기술인 ‘크리스퍼-카스9 리보핵산단백질(RNP) 복합체의 세포 내 직접 전달’과 관련된 미국 특허(특허 번호 12,473,559)를 취득했다고 19일 밝혔다.

관련 내용은 앞서 이데일리에서 먼저 보도한 바 있다(툴젠, 美서 ‘엑사셀’ 권리 주장 근거 확보…RNP 특허 마수걸이 등록 성공).

미국 특허 등록과 동시에 툴젠은 미국 내 ‘엑사셀’(영국 제품명 ‘카스거비’(CASGEVY®))의 생산 및 판매와 관련한 특허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 툴젠은 세계 최초의 크리스퍼 기반 유전자 교정 치료제인 엑사셀이 이번에 신규 등록된 특허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번 특허 등록으로 툴젠은 미국 시장에서 유전자 교정 효율과 정확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차세대 플랫폼 기술에 대한 권리를 확보하게 되었다. 툴젠은 이미 한국, 유럽, 일본, 홍콩, 호주에서 주요 크리스퍼 카스9 RNP 관련 특허를 확보한 바 있으며, 이번 미국 특허 등록으로 더욱 강력한 글로벌 특허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게 됐다.

기존의 유전자 교정 방식은 주로 DNA 벡터나 메신저 리보핵산(mRNA)을 통해 카스9을 도입했으나, 이는 세포 내 발현 시간이 필요하고 오프타깃(off-target, 표적 이외의 위치를 교정하는 현상) 편집 등 안전성 우려가 있었다. 반면 툴젠의 특허 기술은 가이드 RNA와 결합된 단백질 형태(RNP)로 카스9을 직접 전달함으로써 DNA·mRNA 관련 세포 독성을 피하고, 외부 DNA 삽입 위험을 제거하며, 오프타깃 활동을 줄여 안전성을 높였다. 크리스퍼 RNP 전달 방식은 치료제 개발 뿐만 아니라 동식물 유전자 교정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툴젠의 미국 특허는 카스9 단백질과 가이드 RNA를 특정 몰 비율(molar ratio)로 결합해 형성된 크리스퍼 RNP 복합체를 세포 내 직접 전달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툴젠은 피고 측이 엑사셀 제조 과정에서 이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엑사셀은 승인 받은 최초의 크리스퍼 기반 유전자 교정 치료제로, 겸상 적혈구 빈혈증(SCD) 및 수혈 의존성 베타 지중해빈혈(TDT) 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미국과 유럽 등 주요 지역에서 승인을 받아 상용화됐다.

유종상 툴젠 대표이사는 “이번 미국 특허 등록은 세계 최대 시장에서 툴젠의 크리스퍼-카스9 RNP 기술의 중요성을 재확인한 것”이라며 “유럽에서의 특허침해소송과 더불어 미국에서도 툴젠 지적재산권의 가치를 정당하게 인정받고,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툴젠은 버텍스(Vertex Pharmaceuticals)와의 건설적인 협의를 위한 대화의 창이 열려 있다는 입장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툴젠의 목표는 환자들의 엑사셀이나 기타 유전자 교정 치료제 접근을 제한하거나 지연시키는 것이 아니다. 라이선싱 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을 통해 툴젠의 원천 기술 사용에 대한 정당한 인정과 보상을 확보함으로써 지속적인 혁신과 책임 있는 환자 접근성을 지원하고자 하는 것”이라는 것이 회사측 설명이다.



저작권자 © 팜이데일리 - 기사 무단전재, 재배포시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