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기사는 인쇄용 화면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X
잠깐! 아래 내용을 확인 해 주세요.

브라우저 좌측 상단에 그림과 같은 요청이 뜬다면

허용을 눌러 설정을 완료해 주세요.

얼랏창

요청이 뜨지 않았다면 다음 > 안내를 참고해 주세요.

권한 요청을 받지 못하셨나요?
  • view_chrom(좌측상단)
  • view_edge(우측상단)
  • view_whale(우측상단)

사용중인 브라우저의 주소창을 확인 후 알람아이콘아이콘을 눌러 허용해 주세요.

설정 즉시 브라우저 알림이 활성화 됩니다.

삼성, 바이오 20조 투자·GS, 휴젤 1.7조 인수…대기업, 제약·바이오 정조준
  • 삼성그룹, 향후 먹거리로 ‘바이오’…20조원 투자 계획
  • GS, 컨소시엄 통해 휴젤에 1.7조 투자…국내 최대 제약·바이오 빅딜
  • SK바사·LG화학도 집중 투자 등 각축전
  • 등록 2021-08-30 오후 3:58:35
  • 수정 2021-08-30 오후 9:07:09
[이데일리 김영환 기자] 대기업들이 제약·바이오를 미래 먹거리로 점찍고 투자 보폭을 넓히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제약·바이오 분야의 성장성이 확인되면서 의약품은 물론, 헬스케어 시장까지 그 영역을 확장하는 모양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3공장(사진=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그룹은 지난 24일 ‘3년(2021~2023년) 중장기 투자 계획’을 발표하면서 바이오 분야에 약 20조원을 쏟아붓겠단 목표를 설정했다. 뒤이어 25일에는 GS그룹이 컨소시엄을 통해 보툴리눔톡신제를 주력으로 하는 기업 휴젤을 인수하면서 바이오 사업 확장 의지를 보였다.

삼성은 특히 바이오 산업을 ‘제2의 반도체’로 낙점했다. 현재 송도에 4공장을 건설 중인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향후 5공장과 6공장도 추가로 건설할 방침이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백신과 치료제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제약·바이오 분야는 국가 차원의 전략산업으로 그 위상이 높아졌다.

삼성은 이미 바이오 의약품의 위탁개발·생산(CDMO)에서 규모 면으로 글로벌 1위다. 오는 2023년까지 시장점유율을 30%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바이오 의약품 외 백신과 세포·유전자치료제 등 차세대 치료제 CDMO에도 신규 진출할 계획이다.

GS의 휴젤 경영권 확보는 향후 그룹 체질 개선의 신호탄이 될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의료 바이오 분야에 첫 발을 내딛고 향후 바이오 플랫폼을 육성할 것이란 전망이다. 허태수 GS그룹 회장은 “휴젤을 GS그룹의 바이오 사업을 다각화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육성해 미래 신사업인 바이오 사업을 더욱 확장할 것”이라고 했다.

SK그룹 역시 SK바이오팜과 SK바이오사이언스를 통해 구체적 성과를 도출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특히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GBP510’가 국내 최초로 임상3상 시험 계획이 승인을 받으면서 주목을 받았다. SK바이오팜의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는 미국 진출에도 성공했다.

LG화학은 혁신신약 R&D에 대한 꾸준한 투자 의지를 보이고 있다. 국내 1호 미국 FDA 승인 신약 ‘팩티브’를 개발한 LG는 합성 신약 개발을 위해 오는 2025년까지 1조원을 투입하겠단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CJ그룹도 최근 마이크로바이옴 기업 천랩을 인수했고 롯데그룹 역시 바이오 시장 진출 의사를 표했다.

대기업들의 제약·바이오 분야에 대한 관심은 범용성이란 분석이 나온다. 활용 범위가 넓어서 신약개발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시장성이 예측되는 분야에 집중투자를 하는 방식이라는 분석이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바이오·헬스케어 산업에 대한 이해도를 바탕으로 시너지를 낼 만한 분야를 찾는 모습이 보인다”라며 “장기 투자가 필요한 분야라는 측면에서 경영진의 의지만 확고하다면 대기업이 보다 유리한 점도 있다고 본다. 유망한 바이오 벤처와의 시너지가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마감

의과대학 입학정원 증원 어떻게 생각하세요?

필요하다

134명( 82% )

불필요하다

29명( 17% )

저작권자 © 팜이데일리 - 기사 무단전재, 재배포시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