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기사는 인쇄용 화면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X
잠깐! 아래 내용을 확인 해 주세요.

브라우저 좌측 상단에 그림과 같은 요청이 뜬다면

허용을 눌러 설정을 완료해 주세요.

얼랏창

요청이 뜨지 않았다면 다음 > 안내를 참고해 주세요.

권한 요청을 받지 못하셨나요?
  • view_chrom(좌측상단)
  • view_edge(우측상단)
  • view_whale(우측상단)

사용중인 브라우저의 주소창을 확인 후 알람아이콘아이콘을 눌러 허용해 주세요.

설정 즉시 브라우저 알림이 활성화 됩니다.

안전성 논란 치매 치료제, ‘천연물 신약’으로 기회 엿보는 국내 기업들
  • 17년 만에 허가된 신약, 안전성 논란
    일라이릴리 신약도 추가 임상 데이터 기다려
    국내사, 천연물 신약에 도전장
    다만 아직 성과 나온 적은 거의 없어
  • 등록 2022-02-21 오후 3:51:45
  • 수정 2022-02-21 오후 3:51:45
[이데일리 김명선 기자] 알츠하이머(치매) 치료제 시장에서 ‘안전성’이 부각되고 있다. 알츠하이머 신약 ‘아두헬름’을 복용한 환자 중에서 잇따라 사망자가 나오면서다. 같은 계열로 개발 중이던 또 다른 글로벌 제약사 신약도 추가 임상 데이터를 기다리는 상황이다. 국내 기업들은 같은 기전이지만 난치성 질환에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 신약’으로 치매 시장 침투를 노리고 있다.

안전성 이슈 불거지는 치매 치료제 시장

지난 16일(현지 시각) 바이오젠(Biogen) 아두헬름을 복용한 환자 중 3명이 추가로 사망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아두헬름 관련 사망 사건은 이번이 네 번째다. 지난해 11월에도 캐나다에서 75세 여성이 아두헬름을 복용한 후 사망했다. 아두헬름은 지난해 6월 17년 만에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받은 알츠하이머 신약이다.

사망자들은 ARIA(Amyloid-related imaging abnormality, 아밀로이드 관련 비정상적 영상 소견) 증상을 앓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ARIA는 아두헬름의 대표적인 부작용이다. 지난해 11월 미국의사협회 신경학회지(JAMA Neurology)에 게재된 EMERGE 및 ENGAGE 후속임상의 2차 분석에 따르면, 환자 3285명 중 425명(약 40%)이 ARIA 증상을 경험했다.

지난 16일(현지 시각) 바이오젠(Biogen) 아두헬름을 복용한 환자 중 환자 3명이 추가로 사망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사진=바이오젠)


바이오젠은 “지금까지 보고된 사망자 중 아두헬름과 관련된 사망자는 없다”고 반박했지만, 안전성에 대한 시장 우려는 여전하다. 바이오젠은 효능과 안전성의 추가 입증이 필요한 상황이다. 올해 바이오젠은 1500명을 대상으로 임상 4상 확증시험(ENVISION)에 나선다.

아두헬름 안전성 논란은 올해 FDA 허가가 기대됐던 일라이릴리(LLY) ‘도나네맙’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앞서 미국 메디케어 및 메디케이드 서비스센터(CMS)는 아두헬름 안전성 문제 등을 거론하며, 새로운 임상에 참여하는 알츠하이머 환자들에게만 아두헬름에 대한 보험료를 지급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후 일라이릴리는 올 1분기에 제출하려고 했던 FDA 허가 신청서 제출을 미뤘다. 지금대로라면 아두헬름과 마찬가지로 보험 혜택 면에서 타격이 있을 것이란 판단에서다. 도나네맙은 아두헬름과 같은 계열 치료제다. 회사는 임상 3상인 TRAILBLAZER-ALZ와 ALZ2에서 임상적 데이터를 확보할 때까지 기다린다는 입장을 표했다.

국내사, 부작용 적은 천연물 신약으로 도전장

알츠하이머 치료제 파이프라인을 보유한 글로벌 제약사들이 임상을 통한 안전성과 효능 입증이라는 과제를 안은 가운데, 국내 기업들은 ‘천연물 신약’으로 치매를 극복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천연물 의약품은 동식물 등 생물과 생물의 세포 등을 활용한 약을 말한다. 전 세계 천연물 신약 시장은 2018년 279억달러(약 33조원)에서 2023년 406억달러(약 48조원)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기업들이 개발 중인 천연물 치매 신약도 아두헬름과 도나네맙 등과 기전은 대체로 비슷하다. 뇌 신경세포 표면에 당과 단백질이 뭉쳐져 알츠하이머를 촉진한다고 알려진 아밀로이드 베타 플라크를 타깃한다. 그러나 천연물 의약품은 천연물을 사용했기 때문에 부작용이 적고 장기 독성에서도 자유롭다는 장점을 지닌다.

천연물 의약품은 부작용이 적고 장기 독성에서도 자유롭다는 장점을 지닌다. (사진=픽사베이)
국내에서는 메디포럼을 비롯해 국내 바이오 벤처들의 움직임이 활발하다.

메디포럼은 한방유래 천연물로 이뤄진 치매치료제 ‘PM012’를 개발 중이다. 연내 임상 2b상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메디포럼 관계자는 “현재 환자 투약을 진행하고 있다. 임상 2상 결과에 따라 글로벌 기술수출 혹은 글로벌 임상도 염두에 두고 있다”며 “천연물 의약품은 합성 의약품보다 부작용이 적다. 최근 치매 치료제에서 부작용 이슈가 나오고, 특히 미국과 유럽은 안전성을 중요시하는 만큼 시장 대체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바이오벤처 다당앤바이오, 엠테라파마도 천연물을 이용해 치매 신약 개발에 나섰다. 다당앤바이오는 베타 아밀로이드 생성 억제 효과와 뇌신경세포 보호 효과 등을 지닌 천연물 신약 후보물질 ‘DDN-A-0101’ 미국 임상을 준비 중이다. 엠테라파마도 치매 신약 ‘MT104’을 개발 중이다. 아직 임상에는 돌입하지 않은 상태다.

다만 국내에서 아직 치매 분야에서 천연물 기반 신약 성과가 나온 적이 드물기에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있다. 동아에스티(170900)가 미국 뉴로보에 알츠하이머 치매 천연물신약을 비임상 단계에서 기술이전하기는 했지만, 실적을 내지 못한 기업이 다수다. 일동제약(249420)은 2019년 멀구슬나무 열매 천련자에서 추출한 천연물을 이용한 신약 ‘ID1201’ 임상 3상을 승인받았지만, 현재는 임상이 종료됐다. 일동제약 관계자는 “코로나19 등으로 환자 모집과 임상 진행이 매끄럽지 않아 임상을 종료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환인제약(016580), 광동제약(009290) 등도 개발을 완료하지 못했다.

마감

의과대학 입학정원 증원 어떻게 생각하세요?

필요하다

134명( 82% )

불필요하다

29명( 17% )

저작권자 © 팜이데일리 - 기사 무단전재, 재배포시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