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기사는 인쇄용 화면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신공장 완공 앞둔 아미코젠 “레진에서만 3년내 400억 매출”
  • 박철 아미코젠 대표이사 인터뷰
  • “국내 바이오사와 레진 공급 논의 중”
  • “스웨덴·중국 기업서는 CMO 요청도”
  • 등록 2023-09-18 오전 9:05:01
  • 수정 2023-09-22 오전 10:57:14
이 기사는 2023년9월18일 9시5분에 팜이데일리 프리미엄 콘텐츠로 선공개 되었습니다. 구독하기
[이데일리 나은경 기자] “현재 국내 바이오시밀러 기업에 레진 1차 샘플을 제공한 상태입니다. 내년쯤에는 국내 기업향 레진 수주 소식도 들려드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지난 12일 경기도 판교 사무실에서 만난 박철 아미코젠(092040) 대표이사는 “국내 바이오시밀러 회사들의 글로벌 점유율이 성장하고 있는데 지속해서 경쟁우위에 있으려면 가격경쟁력이 중요한 요인이다. 아미코젠의 배지와 레진이 항체생산성을 높여 가격경쟁력 향상에 결정적으로 기여하겠다”며 이 같이 말했다.

박철 아미코젠 대표이사(사진=김승권 기자)


2000년 제약용 특수효소 개발기업으로 설립돼 2013년 코스닥에 기술특례상장한 아미코젠은 바이오의약품 생산 원재료인 배지·레진의 생산기술에서 경쟁력을 가진 회사다. 현재 연간 국내에서 사용되는 레진의 양은 5000~1만ℓ다. 연내 전남 여수 레진 공장 준공으로 연 1만ℓ 생산 여건이 마련되면 국내는 물론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개발사를 상대로 본격적인 수주 경쟁에 진입할 예정이다. 박 대표는 2~3년 내 배지레진 공장에서 본격적인 매출을 내고,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2025년에는 생산능력(CAPA)를 4만ℓ까지 확장하겠다는 계획이다.

배지·레진사업에 총력...국내 점유율 30% 이상 목표

전자·부품 산업에서만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국산화가 시급한 것이 아니다. 바이오 산업에서도 국내 기업의 소부장 국산화 비율은 6%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 소부장 국산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세포 배양 장비를 만드는 마이크로디지탈(305090)은 최근 셀트리온(068270)에 일회용 세포배양백인 ‘더백’을 공급했다. 바이오의약품 공정의 핵심기술인 세포주·배지·레진 개발역량을 모두 보유한 아미코젠도 현재 국내 바이오시밀러 기업에 레진을 납품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 중이다.

바이오시밀러를 생산하려면 치료제의 원료인 재조합 항체 단백질을 만들어낼 세포주가 필요하다. ‘배지’는 바로 이 생산세포주가 먹는 영양분이다. 이 세포주에서 바이러스 등의 불순물을 제거할 때는 ‘레진’이 사용된다. 레진의 항체흡착력이 높을수록 정제효과가 좋다. 레진은 바이오의약품 생산을 위한 필수재이지만 국산 제품이 없어 그간 전량 수입해왔다.

박 대표는 “1차 샘플을 검토 중인 국내 기업으로부터 ‘기존 제품 대비 우리 레진의 항체흡착력이 더 좋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들었다”며 “실제 수주 전까지 개선 요인을 반영해 몇 차례 더 샘플테스트를 진행하면 내년에는 수주 소식을 들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미코젠이 개발한 레진의 균일성과 다공성(오른쪽)을 경쟁사의 레진과 비교한 모습 (자료=아미코젠)


아미코젠은 글로벌 플레이어보다 자사 레진의 항체결합용량(DBC)이 20% 더 높고, 용출량 역시 20% 많다고 설명한다. 이는 레진의 내구도와 다공성이 더 높기 때문인데, 이 경우 정제시간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해진다. 세척 후 레진 재사용시 DBC 성능 감소도 적어 여러 차례 재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례에 따라 다르지만 항체의약품 생산원가에서 배지와 레진이 차지하는 비중은 최대 50%에 달할 정도로 크다. 박 대표는 아미코젠의 레진이 항체정제수율을 높이고, 바이오의약품의 생산원가를 떨어뜨릴 수 있어 고객사의 수요가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 대표는 “올 상반기까지는 배지·레진 사업의 매출이 작았지만 내년부터는 생산능력(CAPA)이 달라지기 때문에 배지·레진 사업에서만 올해의 수십배 수준의 매출 달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2025년 글로벌 레진 시장 규모는 31억700만 달러, 국내 레진 시장 규모는 4169억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미코젠은 2026년까지 국내 레진 시장에서 점유율 10%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이다. 레진에서만 400억원 이상의 매출을 내겠다는 의미다. 국내 시장은 물론, 공장가동률을 최대화하기 위해 스웨덴, 중국 등의 기업으로부터 위탁생산(CMO) 수주도 받을 계획이다. 박 대표는 “공장 완공 이후 CMO에 대해 해외 바이오의약품 기업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스웨덴, 중국 기업에서는 우리 회사에 CMO 를 의뢰하기 위해 우리 레진으로 테스트가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이달 아미코젠차이나 신공장 완공...엔돌라이신도 2025년 본격 매출

배지·레진 사업이 본격화되기 전까지는 아미코젠차이나가 아미코젠의 실적을 이끌어 간다. 회사는 아미코젠차이나의 성장세를 바탕으로 연내 연결·개별기준 모두 흑자전환을 이루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상반기 누적 기준 흑자전환에 성공한 것도 아미코젠차이나의 동물용 항생제 완제의약품 매출 증가 영향이 컸다. 지난해 아미코젠차이나의 매출은 1072억원으로 연결 기준 전체 아미코젠 매출(1443억원)의 74%를 차지했다.

박 대표는 “이달 중 아미코젠차이나 신공장이 완공되고, 10월부터는 상용화 생산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현재는 공장 시운전 및 시생산이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공장에서는 툴라스로마이신, 가미스로마이신 등 동물 항생제가 생산될 예정이다. 툴라스로마이신은 화이자의 동물의약품 자회사 조에티스가 개발했지만 2019년 특허가 만료됐고, 아미코젠이 중국 시장에서 가장 먼저 복제약을 개발했다.

한-중 외교관계 경색에 따른 사업 영향에 대해서는 “아미코젠차이나의 주요 경영진이 모두 현지인으로 정치적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본다”며 “실제로 아미코젠차이나는 지속적으로 매출이 늘고 있다”고 답했다.

2025년에는 중국에 아미코젠차이나를 상장시킬 계획이다. 레진과 배지 사업을 영위하는 관계사 퓨리오젠, 비욘드셀도 2025년, 2026년 각각 국내 기술특례상장을 목표로 한다.

“배지·레진 사업이 계획대로 성장하고 아미코젠차이나와 자회사 사업도 본궤도에 오르면 ‘2030년 그룹매출 1조2000억원, 영업이익률 20%’라는 중장기 비전 달성도 어렵지 않을 거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전까지는 배지·레진사업 성장에 총력을 기울이겠습니다.”

팜투자지수

팜투자지수는 유료 구독자에게만 제공됩니다.

구독하기

마감

의과대학 입학정원 증원 어떻게 생각하세요?

필요하다

134명( 82% )

불필요하다

29명( 17% )

저작권자 © 팜이데일리 - 기사 무단전재, 재배포시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