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이데일리 프리미엄 기사를 무단 전재·유포하는 행위는 불법이며 형사 처벌 대상입니다.
이에 대해 팜이데일리는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 강력히 대응합니다.
[이데일리 석지헌 기자] 메디컬에이아이는
뷰노(338220)의 인공지능(AI) 기반 심정지 예측 의료기기 ‘딥카스’ 개발자 중 한 명이 창업한 회사다. 권준명 메디컬에이아이 대표는 딥카스의 성공 가능성을 가장 먼저 알아보고 회사 측에 공동 개발해보자고 제안했다. 권 대표는 서울대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응급의학과 전문의로 10년 간 의료 현장에 몸 담아왔다.
| 권준명 메디컬에이아이 대표.(제공= 메디컬에이아이) |
|
권 대표는 세종병원에 재직하면서 AI 개발자들과 소통하며 의료 데이터를 정리하는 데 너무 오랜 기간이 걸린다고 느꼈다고 한다. 의료 데이터를 정리하느라 정작 개발에 쓸 시간은 부족했다. 결국 AI 프로그램을 배워야겠다고 판단, 3년 간 방송통신대학 바이오정보통계학과에서 공부한 끝에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러는 동안 세종병원에는 인공지능빅데이터본부가 세워졌다. 권 대표는 빅데이터 본부장을 역임하면서 자연스레 창업을 결심하게 됐다.
국내 안마의자 제조기업인 바디프랜드와 인연도 이 곳에서 시작됐다. 바디프랜드는 세종병원과 오랜 기간 공동 연구를 통해 7만 건 이상의 심전도 데이터를 구축해 왔으며 심혈관질환을 진단하는 AI 개발에 관한 학술 논문도 발표했다. 현재 메디컬에이아이의 최대주주는 바디프랜드다. 절반 이상 가량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두 회사는 앞으로도 다방면에서 협업할 예정이다. 바디프랜드는 최근 수익성 개선을 위해 의료기기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바디프랜드는 메디컬에이아이와 오랜 기간 공동 개발해 온 심전도 측정 안마의자를 내년 출시할 예정이다. 나아가 맥박 수, 산소 포화도 등 추가적인 생체정보도 측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도 개발 중이다.
| 서울대 출신 의료진들로 구성된 메디컬에이아이 임원진.(제공= 메디컬에이아이) |
|
메디컬에이아이 경쟁력은 ‘맨파워’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권 대표를 포함해 4명의 서울대 의대 출신 전문의가 함께하고 있다. 이민성 이사는 서울대학교 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는 메디컬에이아이 메디컬팀과 임상을 총괄하고 있다. 이학승 이사는 서울대병원 심장내과 교수를 지냈고 현재는 메디컬에이아이 최고의학이사(CMO)와 미국법인을 총괄하고 있다. 손정민 이사는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임상 강사를 지낸 후 현재는 메디컬에이아이 심전도 판독센터 총괄을 담당하고 있다. 이밖에 소프트웨어의 판독센터 운영팀, 소프트웨어 개발팀, 인허가팀도 국내 최대 IT 기업에서 영입한 인재들로 구성돼 있다. 전 임직원 모두가 메디컬에이아이 최소 5000만원 이상씩 투자자로 참여했다는 점이 인상적이다.
메디컬에이아이의 대표 제품은 심부전을 조기 발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 에티아엘브이에스디(AiTiaLVSD)다. 심부전은 크게 두 부류로 나뉘는데, 그중 하나가 LVSD다. 전체 심부전 50%가 LVSD에 해당한다.
심부전은 심장의 수축 기능이 떨어지는 병이다. 고령자나 임산부, 항암치료를 받은 환자 등 다양한 환자군에서 발생한다. 대한심부전학회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심부전 유병률은 2002년 0.77%에서 2018년 2.24%로 3배 증가했다. 2018년 기준 국내 심부전 환자는 116만 명에 달한다. 평소 뚜렷한 증상이 없어 진단이 어려운 만큼 환자가 5년 내 사망할 확률은 60%로 왠만한 암 사망률보다 높다.
AiTiaLVSD는 정확도가 높고, 검사 방법도 간단해 의료진들이 선호하는 의료기기로 이미 입소문이 났다. 현재 심부전 검진을 위한 혈액 검사 정확도는 72% 수준인 반면 AiTiaLVSD 정확도는 91%에 달한다. 검사에 별다른 장비가 필요하지도 않다. 심전도를 측정하면서 동시 진단이 가능하다. 0점에서 100점 사이 점수를 매겨 심부전 위험도를 알려주는 식이다. 의료진 입장에서는 추가로 검사 장비들을 들일 필요 없기 때문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AiTiALVSD는 이러한 제품력을 인정받아 지난 3월 식품의약품안전처 품목허가를 받았다. 이어 4월 혁신의료기술로 지정돼 8월부터 3년 간 종합병원 및 상급종합병원에서 비급여 혹은 선별급여 형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또 다른 제품인 심근경색 진단 프로그램도 현재 혁신의료기술 심사를 받고 있으며 내년 상반기 쯤 결과를 확인해볼 수 있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