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새미 기자 |
|
[이데일리 김새미 기자] 이재명 정부 출범과 함께 바이오업계에서도 기대감이 싹트고 있다. 현재 바이오산업은 유례없는 장기 투자 한파 속에 최악의 위기를 맞고 있다. 상장 바이오기업들은 연이어 상장폐지 위기에 직면했고, 비상장 기업들은 자금 조달에 실패해 폐업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제 구조조정할 곳은 다 구조조정이 끝났다”며 업계 전반이 고사 위기라고 우려한다.
바이오산업이 다시 자생력을 갖추기 위해선 정부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이 절실하다. 우선 경쟁력을 상실한 ‘좀비 바이오기업’은 시장에서 자연스럽게 퇴출되도록 유도하되, 유망한 신생기업들은 기업공개(IPO)나 투자유치를 통해 성장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상장 유지 조건인 법인세비용 차감 전 계속사업손실(법차손) 요건이나 매출 요건 등의 완화보다 더 시급한 것은 초기 단계의 비상장 바이오기업이 시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생태계를 재구성하는 일이다.
특히 초기 펀딩단계에도 자금이 퍼질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유도해야 한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투자 생리는 엑시트(exit)를 우선할 수밖에 없다”며 “시리즈 C나 상장 전 투자 유치(프리IPO) 같은 후반 단계에만 자금이 몰리는 현실을 감안해 300억원 이하의 소형 펀드를 다수 조성하고 이를 중형 펀드와 연계하는 방식의 투자 생태계를 정부 주도로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대통령 취임 이후 여야가 합의해 통과시킨 첫 번째 법안인 상법 개정안도 바이오업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상법 개정안은 주주의 충실의무를 신설하고, 감사위원 선임 시 ‘3% 룰’을 확대 적용해 대주주의 전횡을 견제하도록 했다. 정보 비대칭성이 심각한 바이오 산업 특성상 주가 조작과 같은 불법 행위에 대한 강력한 제재도 필요하다. 이재명 정부가 추진 중인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는 경각심을 줄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새 정부가 바이오산업을 미래 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는 의지를 밝힌 만큼, 단기적 지원에 그치지 않고 정책 일관성을 바탕으로 바이오 생태계 전반을 정비하는 데 나서야 한다. 바이오 산업의 생명력은 ‘기술력’이지만 이를 꽃피우기 위해선 ‘자금’과 ‘신뢰’라는 두 축이 뒷받침돼야 한다. 정부와 민간이 함께 호흡하며 바이오 강국으로의 도약을 준비할 때다.